논문 상세보기

가톨릭 종교예식에 있어서 부활절 꽃작품의 특성 KCI 등재

Charateristics of Easter Floral Works in Catholic Litur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52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전례꽃 작가와 전례꽃꽂이 연구회에 발표 된 부활절 꽃작품 70점에 대한 형태의 상징성, 재료, 색채, 질감을 조사 분석하였다. 부활절 꽃작품의 형태의 상징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 알형태의 새 생명 탄생이 28점으로 가장 많았으며, 무덤에서의 부활이 14점으로 그 다음 많았다. 식물소재로는 나팔나리가 41점으로 가장 많았으며, 비 식물소재로는 달걀과 병아리가 각각 21점으로 많았다. 색채를 보면 흰색이 38점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노랑색을 21점 사용하였다. 질감은 부드럽다, 포근하다가 각 31점으로 가장 많았으며 따뜻하다 21점, 유연하다 19점으로 많았다. 이와 같이 부활절 꽃작품을 분석한 결과 알의 형태, 병아리, 새순을 통해 새 생명의 탄생을 표현하였으며 참신하고 우아한 흰 나팔나리와 따뜻하고 유연한 노랑개나리로 부활의 기쁨과 영광을 표현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70 flower arrangement works for the Easter by ceremonial flower arrangement artists and the society of ceremonial flower arrangement during the period from 2002 to 2007.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ymbolism of ceremonial flower arrangement works for the Easter, 28 works symbolized the birth of new life in a shape of egg , and 14 works symbolized the resurrection from the tomb. The most frequently used plant material was Easter lily (Lilium longiflorum) (41). Non‐plant materials used were egg and chick , each of which was used in 21 works. As to color, white color was used most frequently (38) and yellow color was used second most frequently (21). As to texture, each of the softness and comfortableness was most frequent (31) and next warmness (21). As presented above, ceremonial flower arrangement works for the Easter expressed the birth of new life, which was expressed through means of egg form, chick, and new sprout, and joy and glory of resurrection was expressed by using white Easter Lily, which is refreshing and elegant, and forsythia, of which color is yellow giving a feeling of being warm and supple.

목차
ABSTRACT
  Ⅰ. 서언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Ⅴ. 인용문헌
저자
  • 장정희(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Jung-Hee Jang
  • 김홍열(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Hong-Yul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