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한요소 해석과 모형실험을 통한 교량받침의 거동특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ridge Bearings Behavior by Finite Element Analysis and Model Te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66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철도차량에 의한 진동은 지반을 통해 주변 지역에 영향을 주고 피로균열등 구조적 손상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새롭게 개발된 탄성 스페리컬 받침을 기존 강재스페리컬 받침과의 비교를 통한 진동저감성능에 대해 평가하였다. 탄성스페리컬 받침은 반구형 곡률과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현장 여건에 맞는 강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탄성 스페리컬 받침은 반구형 고무 및 보강판의 적층 받침으로써 성능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설계와 해석결과를 비교하고 특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진동저감성능 확인을 위해 열차의 실대차 축소모형 시험을실시하였다. 해석적 검증비교를 통한 특성시험에서는 설계하중 500kN 시험체의 압축 및 회전 시험결과 압축보다 회전에 의한 강성 증가가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압축 및 회전 시험 후 시험체에 외관변형 및 영구적인 손상, 찢어짐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축소 스케일 진동측정 시험에서는 실대차 모형을 1/50축소하여 교량의 진동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강재 스페리컬 받침에 비해 탄성 스페리컬 받침의 진동저감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판단되며, 거리별 진동감쇠 성능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탄성스페리컬 받침의 철도교 적용 시 진동저감효과가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 후 실제 철도교량에서의 현장실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할 계획이다.

The increased vibration level of the railway bridge could make significant noise and, also, cause structural damages such as fatigue cracks. Related to these subjects, a spherical elastomeric bridge bearing, which is layered by hemispherical rubber and steel plates,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its vibration performance. Several different shape factors could be considered by changing thecurvature of hemispherical surface and size in rubber and steel plate thicknesses in the manufacturing stage. The performance ofthe spherical elastomeric bearing for the reduction in vibration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bearing by performingvibration experiments on a scale-downed model. The rubber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spherical shape are found to be important parameters in reducing the bridge vibration.

목차
1. 서 론
 2. 탄성 스페리컬 받침의 설계 및 유한요소해석
  2.1 탄성 스페리컬 받침의 설계
  2.2 유한요소해석
 3. 탄성 스페리컬 받침의 특성시험
  3.1 시험체 제원
  3.2 시험조건 및 방법
  3.3 시험 결과 및 분석
 4. 축소모형을 활용한 소음 및 진동시험평가
  4.1 축소모델의 상사
  4.2 구조체 제작 및 설치
  4.3 축소대차 제작 및 적용
  4.4 받침에 의한 교량구조물의 진동 평가
  4.5 거리별 진동 감쇠측정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재욱(정회원, 서울시립대학교 박사과정) | Jae-Uk Lee
  • 정희영(정회원,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 Hie-Young Jung Corresponding author
  • 오주(정회원, 특허청 심사관, 공학박사) | Ju Oh
  • 박진영(정회원, 유니슨이테크(주) 연구소장, 공학박사) | Jin-Young Park
  • 김씨동(정회원, 극동엔지니어링(주) 부사장, 공학박사) | See-Don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