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리산권역에서 산채류의 유통 및 이용 실태 KCI 등재

The Actual Distributing and Utilizing Condition of Wild Vegetables in Mountain Jirisan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377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산채류 관련 문화의 보존과 발전 및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구례군, 남원시, 하동군, 함양군, 산청군 등 지리산 권역에서 산채류 유통실태와 이용문화를 조사하였다. 5일장에 출하된 신선한 산채류는 구례 18종, 남원 24종, 함양 19종, 산청 17종, 하동 15종이었다. 신선한 산채류 중 참취, 두릅나무, 고사리, 돌나물, 도라지, 머위는 전체적으로 판매처가 많았다. 구례에서는 가중나무, 음나무, 초피나무의 싹을 판매하는 곳의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산채류의 판매처별 판매 산채 종류 수는 72% 이상이 4종류 이하였다. 산채류를 판매하는 사람들의 연령대는 50세 이상이 87% 이상을 차지하였다. 지리산권역의 토산품 및 농산물 전시판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마른 산채류는 참취, 얼레지, 원추리, 비비추, 쑥부쟁이, 고사리 등의 초본류와 가중나무, 음나무, 다래나무, 고추나무 등의 목본 식물이었다. 마른 산채류의 포장은 80~200g 단위로 되어있었다. 마른 산채류의 포장지에는 산채류 이름, 중량, 생산자에 대한 표기 비율은 높았으나 제조방법, 제조 연월일, 유통기간, 조리방법, 주의사항에 대해서는 표기 비율이 낮거나 표기가 안된 것도 많았다. 지리산권역의 산채전문 식당에서 판매하는 정식에서 산채류는 3~4종으로 전체 찬 중 16~18%에 불과했다. 산채정식에 이용된 나물의 종류는 지역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개성이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to the actual distributing and utilizing condition of wild vegetables in mountain Jirisan area in terms of Kurye, Namwon, Hadong, Hamyang and Sanchung districts. Kinds of fresh wild vegetables in ordinary market opened once every five days in mountain Jirisan area were as follows that eighteen kinds in Kurye, twenty four kinds in Namwon, nineteen kinds in Hamyang, seventeen kinds in Sanchung, and fifteen kinds in Hadong. Many shops sold fresh wild vegebles in terms of Aster scaber, Aralia elata, Pteridium aquilinum var. latussculum, Sedum sarmentosum, Platycodon grandiflorum and Petasites japonicus. The proportion of Ailanthus altissima, Kalopanax pictus and Zanthoxylum piperritum sprouts sold in Kurye to other districts were relatively raised. Kinds of wild vegetables by marketing places were less than four by 72%. Seller of fifty years old were occupied over 87%. Dried wild vegetables sold in local produces and agricultural products exhibition and selling shops were herbaceous plants in terms of Aster scaber, Erythronium japonicum, Hemerocallis fulva, Hosta longipes, Kalimeris yomena, and Pteridium aquilinum var. latussculum, and woody plants such as Ailanthus altissima, Kalopanax pictus, Actinidia arguta, and Hypericum erectum. Packing units of dried wild vegetables were 80g to 200g. The inscription proportions of the names, weights and producers for dried wild vegetables were high, however, that of manufacturing methods and dates, marketing periods, cooking methods and notabilia were low or none. Distribution ratio of wild vegetables to the subsidiary articles of diet used for a meal of fixed menu were three to four by 16 to 18%. Differences in local districts for the wild vegetables used for a meal of fixed menu were not significant and individual.

저자
  • 허북구((주)세노코) | Buk-Gu Heo Corresponding author
  • 양승렬(순천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Seung-Yul Yang
  • 조자용(남도대학 약용자원원예개발과) | Ja-Yong Cho
  • 장홍기((주)세노코) | Hong-Gi Jang
  • 천상욱((주)캐러스) | Sang-Uk Chon
  • 박윤점(원광대학교 원예·애완동식물학부) | Yun-Jum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