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포트묘의 이모작 이앙시기별 생육 및 수량변화 KCI 등재

Growth and Yield of Pot Seedling Rice as Affected by Different Transplanting Times in Double Cropp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1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청보리와 밀을 재배한 후 벼 이앙시기를 6월 10일 및 6월 25일로 달리하여 포트육묘의 재배적인 효과를 검토하고자 친농 품종을 공시하여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앙시기별 생육상황을 보면 경직경은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보다 포트재배가 굵었으며, 초장 및 유효경비율도 같은 경향이었으나, LAI, 완전미비율 및 단백질함량은 이앙시기간 차이가 인정되었다. 간장, 수장 및 등숙비율은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보다 포트재배에서 컸으나, 수수는 관행재배가 포트재배 보다 많았고, 천립중은 비슷한 경향이었다. 백미수량은 6월 10일 이앙에서는 관행재배보다 포트재배가 544 kg/10a, 6월 25일 이앙에서 513 kg/10a로 관행재배보다 각각 4%로 증수하였다. 수량과 수량구성요소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는 수수 및 등숙비율에서, 포트재배는 1수립수에서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또한 기여도를 보면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는 수수 및 천립중이, 포트재배는 1수립수 및 수수의 기여도가 높았다. 주간과 분얼간 분포도는 두 시기 모두 관행재배는1차, 주간, 2차 분얼 순이었고, 포트재배는 1차 분얼이 많았으나 주간이나 2차 분얼은 비슷하였다.

The healthy rice seedling (Oriza sativa L.) for optimal yield in rice-winter cereals double cropping system is required to enhance the agronomic and economic sustainability of crop production in the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Performance of the pot seedling and conventional tray seedling(control) methods using Chinnongbyeo was compared at two transplanting times of June 10 and June 25 in 2011 following forage barley and wheat cultivation, respectively. Culm diameter, plant height, and productive tillering ratio were higher in pot seedling in both transplanting times than those of the conventional tray seedling. However, leaf area index(LAI), perfect grain ratio, and protein content in milled rice were different by transplanting time. Milled rice yields of pot seedling were 544 kg/10a in June 10 and 513 kg/10a in June 25, respectively, which were 4% higher than the tray seedling. In both transplanting time, panicle number and ripened grain ratio were correlated with milled rice yield in conventional tray seedling, and number of spikelet per panicle in pot seedling. Path coefficients showed higher direct effect of panicle number and 1000-grain weight on yield in tray seedling, and spikelet number per panicle and panicle number in pot seedling. Number of tillers of each order in tray seedling for both transplanting time were different with the order of primary tiller, main stem, and secondary tiller. Pot seedling had more primary tiller than main stem and secondary which were similar in both transplanting time.

저자
  • 김영두(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Young-Doo Kim Corresponding author
  • 강신구(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Shin-Gu Kang
  • 구본일(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Bon-Il Ku
  • 최민규(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Min-Kyu Choi
  • 박홍규(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Hong-Kyu Park
  • 상완규(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Wan-Gyu Sang
  • 이민희(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Min-Hee Lee
  • 김보경(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Bo-Kyeon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