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본의 과수 재배의 일반현황과 기계화 동향 KCI 등재

General Status and Trends in Mechanization of Fruit Growing in Jap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1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일본의 과수 재배 일반현황과 기계화 동향을 살펴본 결과, 일본의 과수 재배면적과 농가 수는 점점 줄고 있으나 호당 경지면적은 증가하고 있고, 특히 3 ha 이상의 대규모 재배농가가 증가하고 있었다. 주요 과수작목의 10 a 당 평균 노동시간은300시간으로 벼 재배의 약 10배 이상을 보였으며, 포도가 가장 긴 455시간을 보였고, 감이 가장 짧은 186시간을 보였다.
과수 기계화율 향상을 위해서는 첫째로 재배측면에서 농기계가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는 재배양식의 표준화, 저수고화를 포함한 수체의 콤팩트화, 수형의 규격화 등 재배환경의 최적화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재배양식의 표준화는 차세대형 기계화는 물론 이미 개발된 기술을 실용화함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조건이기 때문이며, 재배양식 다양성이 기계의 보급대수를 제한하고 제조비용을 높게 만들어 보급이 진행되지 못하게 막는 방해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수체가 콤팩트하게 된다면 기계도 소형화 될 수 있고, 에너지와 기계 비용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체 피복형 작업기가 실현가능하게 되어 환경보전형 방제기와 각종 작업의 로봇화에도 크게 공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수형의 규격화가 진행됨으로서 기계개발의 가능성이 크게 넓어질 것이다. 즉, 노력이 가장 많이 들고 있는 전정과적과, 수확 등의 기계화 여부는 수형의 콤팩트화와 규격화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로 기계측면에서는 노동력 부족 해결을 위해 전정·제초로봇, 친환경 방제용 기계, 수확 운반기계의 개발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고령 농업인들을 위한 농작업 부하경감을 위해 파워 어시스트 슈트의 개발과 허리, 손, 무릅에 부담이 가는 작업의 부담경감을 위해 동작 패턴을 기억하여 재현 가능한 기술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s a result of examining fruit culture general status and mechanized trends in japan, fruit cultivation area and the number of farms is decreasing gradually. But arable land per household i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large-scale farmers more than 3 ha is increasing significantly compared with 5 years ago. Average working hours are 300 hours per 10 a shows about 10 times more than the cultivation of rice. Grape has shown the longest time 455 hours, persimmon showed the shortest time as 186 hours. Mechanization of fruit growing in Japan is about the same level as Korea, such as pesticides and weeds control work have been mechanized until now, however harvesting mechanization is more required. In order to promote the mechanization of fruit cultivation was required on a priority basis approach from the side of cultivation. In other words, the standardization of cultivation method, the compactification and patterning of a tree shape was considered to be the first. And, to resolve labor shortages the development of pruning-weeding robot, eco-control machinery and harvesting-conveyance machinery was considered necessary in terms of the machine. To reduce agricultural work load for older farmers, the power assist suit and the reproduction technologies of behavior patterns need to be developed.

저자
  • 이충근(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생산자동화기계과) | Choung-Keun Lee Corresponding author
  • 최용(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생산자동화기계과) | Yong Choi
  • 강태경(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생산자동화기계과) | Tae-Kyoung Kang
  • 전현종(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생산자동화기계과) | Hyeon-Jong Jun
  • 최일수(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생산자동화기계과) | Il-Soo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