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마 집단의 혈연 정보량과 정보 오류가 유전 모수 추정치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Influence of Amount of Pedigree Information and Parental Misidentification of Progeny on Estimates of Genetic Parameters in Jeju Race Hor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161
  • DOIhttps://doi.org/10.12750/JET.2014.29.3.2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구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Journal of Animal Reproduciton and Biotechnology)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수정란이식학회)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Biotechnology)
초록

제주마 경주 능력 개량을 위한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하여 혈통 정보량과 오류량이 유전 모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혈통 자료는 램덤으로 혈통 정보의 삭제(0~25%) 또는 오류 유발(0~25%)과 각 수준별 20회 반복으로 모의자료를 형성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형질은 제주마 1,000m 경주의 주파 시간을 이용하였고, 상가적 유전 분산의 추정은 DF-REMLAI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개체의 양부모에 대한 정보 유실량과 오류량의 증가는 선형적인 회귀관계로 상가적 유전 분산 성분(유실 b = -0.079, 오류 b= -0.114)과 유전력 추정치(유실, b= -0.006; 오류, b = 0.008)의 감소를 초래했다(p<0.01). 특히 개체의 양부모에 대한 정보유실보다는 정보 오류가 상가적 유전분산량과 유전력 추정치를 보다 크게 왜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 또는 모에 대한 정보의 유실과 오류의 증가도 대부분 오차 분산 성분과 영구 환경 분산 성분의 증가를 유발시키고, 상가적 유전 분산성분의 감소를 가져왔다. 원자료에서 얻은 모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 양부모에 대한 정보의 유실량과 오류량이 1% 증가함에 따라 유전력은 각각 0.92% 및 1.39%씩 낮아지는 관계를 보였다 (p<0.01). 제주마의 1,000m 주파 속도에 대한 유전력은 0.60으로 추정되었지만, 초기 집단에 존재하는 혈통 정보의 누락 및 오류를 고려한다면 실제보다도 10% 정도는 낮게 추정되고 있다고 사료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상가적 유전 분산량의 감소는 물론, 선발에 따른 제주마의 경주 능력에 대한 유전적 개량량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edigree information and race records of 1,000 m finishing time of Jeju race horses at KRA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 of amount of pedigree information and parental misidentification on the estimates of genetic parameters. The modified data sets were made at the range of 2.5 to 25% parental misidentifications or loss of parental information of individuals with an increment of 2.5 percent. For each incremental level, 20 randomly replicated data sets were obtained and analyzed by single-trait analysis with a DF-REML(AI) algorithm. As the rate of misidentification increased or the amount of pedigree information decreased, the estimates of fraction of additive genetics variance component gradually decreased almost linearly (p<0.05), while the estimated fractions of error variance and permanent environmental variance components gradually increased for the finishing tim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percentage amount of both parents' information loss and incorrect pedigree information on additive genetic variances were -0.079 and -0.114, respectively (p<0.01). The estimate of heritability decreased by 0.92% for one percent loss of both parents' information and 1.39% for one percent increase of both parental misidentifications of progeny (p<0.01). For the consideration of probable incorrect and missing parent information of progeny in this early population of Jeju horses, the estimates of additive genetic parameters would be biased downward about ten percent.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amount of pedigree information loss and misidentification of progeny would severely affect estimates of genetic parameters and would reduce genetic gains for selection in Jeju horse population.

저자
  • 김남영(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Kim, Nam-Young
  • 이성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이성수
  • 양영훈( 제주대학교) | 양영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