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베트남 람동성의 농업현황 및 한-벳 ODA 농업협력사업 전략 KCI 등재

Agricultural Status of Lam Dong Province in Vietnam and the Strategy for Korea-Vietnam ODA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gram in Agricul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4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베트남의 중앙고원 농업생태지역에 속하는 람동성 달랏의 농업환경은 다른 저지대 농업 환경과는 매우 다르다. 산림지대인 람동성은 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이다. 람동성은 다년생작물의 경작지가 가장 많으나, 일년생작물만을 놓고 보면 신선채소류의 경작지와 생산량이 람동성 전체의 38%(36,552ha)와 72%(993,082MT)로 가장 높다. 특히 행정도시인 달랏의경우 베트남 경제특구인 호치민과 가까워 비교적 소득이 높은양배추와 배추 등 신선채소류와 국화, 장미, 거베라, 난 등 화훼류가 주로 생산된다. 달랏의 경우 전체 경작지 면적의 64%인 8,447ha가 일년생작물의 생산에 그리고 36%인 4,777ha가다년생작물을 재배하는데, 신선채소류의 생산량은 213,478MT으로 람동성 전체 신선채소류 생산량의 약 21.5%에 해당한다. 따라서 한국, 대만, 일본, 프랑스, 네델란드 등 다양한 국가에서 화훼류, 신선채소류, 차 등의 생산과 수출을 목적으로 달랏의 농업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 또한 2009년 달랏의화훼경작지 면적은 람동성 전체 화훼류 경작지 면적의 55%를 넘으며, 국화, 장미, 백합, 카네이션, 난류, 거베라 등이주로 생산되는데, 최근 6년 평균 연간 수출액 97억 달러로화훼류를 제외한 람동성 전체 농업생산액 보다 높다. 따라서람동성 및 달랏의 농업환경을 고려한 ODA 국제농업협력사업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지 지역의 농업환경 및 여건에 적합한 원예, 화훼, 및 특용작물 생산을 위한 농업기술과 시설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대상지역에 기반을 둔 기업들과 연계한 농업발전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향 후 ODA 국제농업협력사업은 공여국과 수혜국의 상생적발전을 위한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는데, 최근 한국의 경제발전에 따른 원예 및 화훼류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고, 중국과대만 등으로부터 수입되는 원예 및 화훼류의 수입단가가 높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람동성 달랏지역을 원예 및 화훼류의 생산기지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Agricultural environment of Lam Dong province, which is located in central highland area, is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lower areas in Vietnam. In Lam Dong province, abundant plant resources were naturally grown such as pine trees, taxus, and wild orchids, which can grow in high mountainous area. In Lam Dong, the field proportion of perennial crops was higher than that of annual crops. However, the field proportion and yields of vegetables were highest among the all cultivated crops, estimating 38% (36,552ha) and 72% (993,082MT), respectively. Especially in Da Lat, vegetables, flowers, orchids, and industrial crops were mainly produced because this area is geographically close to Ho Chi Minh city. And also in Da Lat, 64% (8,447ha) and 36% (4,777ha) of farm fields were used for producing annual and perennial crops, respectively, and the yields of fresh vegetables in this area was estimated to 213,478MT which was 21.5% of the whole yields in Lam Dong province. Thus Korea, Taiwan, Japan, France, and Holland have invested to agriculture in Da Lat for producing and exporting flowers, vegetables, and tea. In 2009, flower cultivation area of Da Lat was over 55% in Lam Dong province and average amount of values were 9,781 million USD,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al other crops. Thus following strategies could b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in Lam Dong province. The first, agricultural cooperation with Da Lat, Lam Dong, should be characterized to horticulture and floriculture, followed by supporting both appropriate R&D techniques and equipments. And then agricultural system should be made in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panies. Finally, agricultural cooperation program should be conducted toward the direction for both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저자
  • 조준형(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Joon-Hyeong Cho Corresponding author
  • 장혜리(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Hye-Ri Jang
  • 임종민(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Jong-Min Lim
  • 이석영(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 | Sok-Young Lee
  • 김완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Wan-Seok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