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농업에서의 유전자원 활용 현황과 금후 전망 KCI 등재

Pres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for the Use of Genetic Resources in Korean Agricul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5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농업유전자원의 그동안 활용상황을 리뷰를 통하여 살펴보고 금후의 적극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해방후 한국 농업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농업특성과 유전자원의 활용 상황, 국가농업유전자원은행의 역할과 금후 유전자원의 활용 전망에 대하여 검토하여 본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방이후 우리나라 농업의 시대적 변천상황은 1960년대 이전은 자급형 영세농업의 시대로서 한국고유 재래종 위주 재배에서 외국품종 도입 및 국내품종 육성초기의 시대였고, 1960~1970년대는 국가적 식량문제 해결시대로서 통일벼 육성·보급 재배에 따라 다수성 품종육성을 위한 유전자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1980~1990년대는 농산물 소비 다양화시대로서 엽채류, 과채류의 이용성 증가로 4계절 재배가 가능한 원예작물의 육성 및 보급이 이루어졌으며, 2000년대 이후는 고부가 가치 농업을 추구하는 시대로 변천하였으며 시대적 변천에 의한 고품질, 기능성 작물재배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형질의 유전자원 및 수출경쟁력 있는 품종을 요구하고 있다.
2. 농촌진흥청은 국가 농업유전자원 종합관리를 위하여 농업유전자원 관리기관 91개소를 지정운영 하는 등 국내외적으로 역할을 확대하고 있으며, 식물종자유전자원을 중기 및 장기보존 각각 50만점 저장이 가능한 첨단시설을 갖추고 현재 종자자원 16만점을 보존하고 있으며, 이들 유전자원을 활용하여 2,477품종을 개발하여 보급하였다.
3. 국가 농업유전자원은행의 주요 역할을 요약하면, 국내 보존유전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국제적 흐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 농업유전자원의 종합관리가 첫 번째 역할이고, 두 번째는 국가 유전자원은행(Genebank) 사업으로 국내외로부터 현재 및 미래가치에 의한 유용한 유전자원의 다양성 확보, 확보한 유전자원의 증식 및 특성평가, 안전한 보존관리 및 분양서비스에 의한 활용이며, 세 번째는 유전자원 관련 기술개발 연구로서 다양성 분석, 종자수명 및 보존기술, 증식 및 특성평가 기술, 기능성 및 유용 유전자 이용을 위한 탐색기술 개발 연구 등이고, 네 번째는 국내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관련분야 및 국제적으로 대응하는 역할로서 국가를 대표하고 국격을 높이는 주요 기능을 하여야 한다.
4. 농업유전자원의 금후 활용전망을 살펴보면 경쟁력 있는 최고의 농산물 생산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이고, 안정적인 식량공급과 국민의 참살이 수요를 충족하는 기본자원으로 활용되며, 농촌환경 생태계를 건전하고 윤택하게 보존하는데 활용되고, 에너지, 신물질, 신소재 등 차세대 성장동력원 창출의 원천 자원이 될 것이다.

The application and use of agricultural genetic resources have been reviewed since Korea was freed from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n 1945. The whole changes that took place in the Korean agriculture, such as,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e, application trends of genetic resources, roles of agricultural genebank, and future utilization perspectives of plant genetic resources were reviewed and summarized. The whole changes that took place in the Korean agriculture since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were as follows. Before 1960s, Korean agriculture was a subsistence farming system with the landraces, introduction of foreign cultivars, and the beginning stage of domestic breedings. In 1960-1970s, the importance of genetic resources came up because the Korean government had to solve the national shortage of foods by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high-yielding cultivars such as 'tongil rice'. In 1980-1990s, four-season-long cultivation of horticultural products were reared and predominantly based on the public needs. Since 2000s, diverse varieties of genetic resources became more important because of the need to cultivate crops with healthy function and high nutritional value. Hence, the interest in the diversity of agricultural genetic resources increased.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has designated 91 local sub-banks for managing the overall national agricultural genetic resources. RDA installed the seed bank that contain more than 500,000 accessions with high technologies to preserve plant germplasms. Currently, the RDA deposits approximately 160,000 accessions of seeds, and developed and disseminated 2,477 cultivars using these genetic resources. In summary, the major role of national agricultural genebank are as follows: 1) to manage national agricultural genetic resources. 2) to secure diverse genetic resources of current and future values, to conduct multiplication and characteristic assessment of genetic resources, and to utilize genetic resources through saf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service. 3) to conduct a variety of researches such as genetic diversity analyses, develop seed dormancy and preservation tools, assess seed characteristics and multiplication of seeds, develop technology to discover valuable resources using functional genes. 4) to raise the national status for preservation of agricultural genetic resources through international and domestic cooperation. Agricultural genetic resources will be used for the following purposes: to continuously produce competitive cultivars with high quality, to be utilized as raw materials to meet a constant food supply and demands of the general public's well-being, to be applied to make agri-ecosystem healthy and prosperous, and to be used as a driving force for new growth of industries related to energy, new materials and stuffs.

저자
  • 김창영(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Chang-yung Kim †Corresponding author
  • 이정란(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Jeongran Lee
  • 윤문섭(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Mun-Sup Yoon
  • 조규택(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Gyu-Taek Cho
  • 백형진(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Hyung-Jin Baek
  • 고호철(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Ho-Cheol Ko
  • 조양희(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 Yang-Hee Cho
  • 전영아(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Young-Ah Jeon
  • 김정곤(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Chung-Ko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