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다차원 저항의 매개효과 KCI 등재

Mediating Effects of Multi-dimensional Subordinate's Resista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700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4.21.5.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다차원 저항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 사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에는 396명으로부터 응답된 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건설적 저항과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으며, 역기능적 저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다차원 저항(건설적 저항, 역기능적 저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건설적 저항만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셋째, 다차원 저항의 매개효과에서는 건설적 저항만이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구명되었다.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다차원 저항유형의 관계를 규명하여 리더십 연구영역에 부하 저항을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연구결과를 다양한 선제적 행동으로 확대할 수 있는 논리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기존의 단일차원 저항연구를 다차원 저항으로 확대하여 저항의 긍정적 효과제시하고 있으며, 아울러 건설적 저항의 매개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 확대에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실무적 측면에서도 임파워링 리더 육성과 건설적 저항을 흡수할 있는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multi-dimensional subordinate's resista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s. The data which was applied to analysis was collected from 396 employees who have worked at private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do province. We used latent variable methods in analysis so as to minimize the bias of casuality from common method bias by self-report and carried out the hierarchical X2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owering leadership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unctional resistance and innovative behaviors. Second, cfunctional resistance affected innovative behaviors positively in the relations multivariate resistance-innovative behavior. Third, the mediating effects by multivariate resistance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ink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s as partial mediation. The implications of current study are follows. First,
empowering leadership affects multivariate resistance differently. Empowering leadership facilitates functional resistance and reduce dysfunctional resistance. Second, empowering leadership has positive linear impact to innovative behaviors Such the result, both empower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of empowering leader behaviors lead to voluntary innovative behavior in organizations effectively. Third, the mechanism of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s by multivariate resistance was proved empirically.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1. 임파워링 리더십
  2.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
  3. 임파워링 리더십과 부하저항의 관계
  4. 다차원 저항의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표본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Ⅳ. 분석결과
  1. 타당도와 신뢰성
  2. 상관관계
  3. 잠재적 동일방법편이 통제 전후의 구조분석결과
  4. 최적 구조모형 도출 및 가설 검증
 Ⅴ. 결론 및 토의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2. 토의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저자
  • 김성훈(제주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과) | Kim, Sung Hoon
  • 지성호(제주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과 강사) | JI, Sung Ho
  • 강영순(제주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과 교수) | Kang, Young So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