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부지방 평야지 벼 조기재배 적품종 선발 KCI 등재

Selection of The Proper Rice Varieties to Early Transplanting Cultivation in Southern Plain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8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벼의 수량과 품질은 등숙기의 고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남부지방에서 벼 조기재배로 인한 고온 등숙에 벼의 수량과 미질이 적합한 벼 품종 선정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조생종 14품종을 파종 후 20일인 4월 20일에 이앙하여 수확 후 수량과 도정된 쌀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쌀 수량은 단위 면적 당 영화수가 가장 많았던 운광이 가장 많았고 주남조생, 조광, 황금보라, 만나, 운미, 밀양238 및 조아미 순이었다. 완전미 수량은 밀양247이 가장 높았고, 조광, 만나, 산들진미 순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6.0∼6.9% 범위를 나타내었고, 밀양247, 산들진미, 조아미, 만나, 보석 및 조광 품종이 취반미윤기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남부지방 평야지 벼 조기재배시 산들진미, 조광, 만나 그리고 밀양247이 적합한 품종으로 판단된다.

Rice yield and quality was affected by high temperature condition in the ripening stag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proper rice varieties to early transplanting cultivation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 during the ripening period in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It has investigated to the yield components and milled rice quality of fourteen early-maturing rice cultivars which were transplanted 20 days (April 20th) after seeding. The rice yields of Ungwang, Junamjoseang, Jogwang, Hoangguembora, Manna, Unmi, Miryang238 and Joami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varieties. The highest head rice yield was Miryang247, followed by Jogwang, Manna and Sandueljinmi. The protein content of 14 rice varieties ranged from 6.0–6.9%. The Toyo value of milled rice had appeared that Miryang247, Sandueljinmi, Joami, Manna, Boseok and Jogwang were higher level than the oth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andueljinmi, Jogwang, Manna and Miryang247 were proper varieties for early transplanting cultivation in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목차
Ⅰ. 서론
 II. 재료 및 방법
  2.1 실험재료
  2.2 파종 및 재배방법
  2.3 생육조사
  2.4 쌀의 외관 특성
  2.5 백도, 단백질, 아밀로오스 함량, 식미치 분석
  2.6 통계처리
 Ⅲ. 결과 및 고찰
  3.1 벼 생육기간의 기후특성
  3.2 생육특성 및 출수기
  3.3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3.4 백미 품위
  3.5 쌀의 이화학적 특성 및 식미
 » Literature cited
저자
  • 성덕경(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 Deok-Gyeong Seong
  • 김영광(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 Young-Gwang Kim
  • 조용조(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 Yong-Cho Cho
  • 신현열(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 Hyun-Yul Shin
  • 김민철(경상대학교 농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Min Chul Kim
  • 심상인(경상대학교 농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ang In Shim
  • 정종일(경상대학교 농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ong Il Chung
  • 김석현(경상대학교 농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eok Hyeon Kim
  • 김철수(전남대학교 식물생명공학부) | Cheol Soo Kim
  • 정정성(경상대학교 농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ung-Sung Ch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