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남부지역 맹종죽 및 솜대림의 죽령에 따른 현존량 추정 및 비교를 위해 당년생과 2년생 이상의 죽림을 대상으로 10m × 10m 크기의 조사구 3개를 각각 설치하여 경급에 따라 선발하고 벌채하였다. 부위별 건중량은 맹종죽과 솜대 모두 줄기>가지>잎, 죽령별로 2년생 이상>당년생 순으로 나타났으며, 건중량비는 맹종죽 2년생 이상 0.62, 당년생 0.55, 솜대 2년생 이상 0.60, 당년생 0.57로 나타났다. 줄기 건중량비를 이용한 절단 위치 선정 군집분석 결과 두 죽종 모두 수고의 75% 위치에서 상단부와 하단부 두 집단으로 구분 후 절단하여 분석하면 현존량 조사가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추정식 W=aD+bD2을 이용하여 추정된 지상부의 ha당 현존량은 맹종죽 2년생 이상 106.4ton/ha, 1년생 5.5ton/ha, 전체연령 113.3ton/ha, 솜대 2년생 이상 109.2ton/ha, 1년생 6.4ton/ha, 전체연령 106.0ton/ha로 나타났다. 지하부의 ha당 현존량은 맹종죽 지하경이 32.85ton/ha, 원뿌리 10.56ton/ha로 지하경>원뿌리 순이였으며 지상부 현존량의 35.8%였다. 솜대는 지하경 16.89ton/ha, 원뿌리 21.06ton/ha로 원뿌리>지하경 순이였으며 지상부 현존량의 38.3%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iomass estimation factors for each bamboo component from two age-sequence (current-year-old, more than 2-year-old) of Phyllostachys pubescen(PhP;Moso bamboo) and Phyllostachys nigra(Phn; Henon bamboo) stands. The dry weight of culm segment determined by relative heights of total bamboo height show us 1st to 4th culm segment(1st : 0∼25%, 2nd : 25∼50%, 3rd : 50∼75%, 4th : 75∼100%) by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for dry weight ratio. This result show that upper and lower part of 75% height estimation.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by W=aD+bD2 was more than 2-year-old from the bottom area against total culm height can be used in bamboo biomass(Phyllostachys pubescens 106.4ton/ha; Phyllostachys nigra 109.2ton/ha) higher than current-year-old(Phyllostachys pubescens 5.5ton/ha; Phyllostachys nigra 6.1ton/ha). Total underground biomass was (Phyllostachys pubescens 43.41ton/ha; Phyllostachys nigra 38.1ton/ha) fewer than aboveground biom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