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부지역 맹종죽과 솜대림의 현존량 추정에 관한 연구 KCI 등재

Biomass Estimation for Moso Bamboo(Phyllostachys pubescens) Stands and Henon Bamboo(Phyllostachys nigra) Stands in Souther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8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남부지역 맹종죽 및 솜대림의 죽령에 따른 현존량 추정 및 비교를 위해 당년생과 2년생 이상의 죽림을 대상으로 10m × 10m 크기의 조사구 3개를 각각 설치하여 경급에 따라 선발하고 벌채하였다. 부위별 건중량은 맹종죽과 솜대 모두 줄기>가지>잎, 죽령별로 2년생 이상>당년생 순으로 나타났으며, 건중량비는 맹종죽 2년생 이상 0.62, 당년생 0.55, 솜대 2년생 이상 0.60, 당년생 0.57로 나타났다. 줄기 건중량비를 이용한 절단 위치 선정 군집분석 결과 두 죽종 모두 수고의 75% 위치에서 상단부와 하단부 두 집단으로 구분 후 절단하여 분석하면 현존량 조사가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추정식 W=aD+bD2을 이용하여 추정된 지상부의 ha당 현존량은 맹종죽 2년생 이상 106.4ton/ha, 1년생 5.5ton/ha, 전체연령 113.3ton/ha, 솜대 2년생 이상 109.2ton/ha, 1년생 6.4ton/ha, 전체연령 106.0ton/ha로 나타났다. 지하부의 ha당 현존량은 맹종죽 지하경이 32.85ton/ha, 원뿌리 10.56ton/ha로 지하경>원뿌리 순이였으며 지상부 현존량의 35.8%였다. 솜대는 지하경 16.89ton/ha, 원뿌리 21.06ton/ha로 원뿌리>지하경 순이였으며 지상부 현존량의 38.3%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iomass estimation factors for each bamboo component from two age-sequence (current-year-old, more than 2-year-old) of Phyllostachys pubescen(PhP;Moso bamboo) and Phyllostachys nigra(Phn; Henon bamboo) stands. The dry weight of culm segment determined by relative heights of total bamboo height show us 1st to 4th culm segment(1st : 0∼25%, 2nd : 25∼50%, 3rd : 50∼75%, 4th : 75∼100%) by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for dry weight ratio. This result show that upper and lower part of 75% height estimation.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by W=aD+bD2 was more than 2-year-old from the bottom area against total culm height can be used in bamboo biomass(Phyllostachys pubescens 106.4ton/ha; Phyllostachys nigra 109.2ton/ha) higher than current-year-old(Phyllostachys pubescens 5.5ton/ha; Phyllostachys nigra 6.1ton/ha). Total underground biomass was (Phyllostachys pubescens 43.41ton/ha; Phyllostachys nigra 38.1ton/ha) fewer than aboveground biomass.

목차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2.1 조사지 개황
  2.2 조사방법 및 자료분석
 Ⅲ. 결과 및 고찰
  3.1 기관별 건중량
  3.2 절단 위치별 건중량
  3.3 현존량
 Ⅳ. 결 론
 » Literature cited
저자
  • 이광수(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Kwang Soo Lee
  • 정수영(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Su Young Jung
  • 유병오(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Byung Oh Yoo
  • 박준형(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Jun-Hyung Park
  • 김춘식(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Choonsig Kim
  • 주남규(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Nam-Gyu Ju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