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용하고 있는 입목 재적표는 전국에서 수집한 데이터로 제작한 전국 공용의 재적표이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 적용할 경우 재적을 과소 또는 과대 추정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간곡선식을 이용하여 지역의 재적생장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홍천, 평창, 영주 3지역의 지방별 입목 수간재적표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소나무 다음으로 많이 식재되어 있는 낙엽송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추정에 적합한 수간곡선식의 도출을 위해서 Max & Burkhart식, Korzak 그리고 Parresol et al.의 세 가지 수간곡선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적합도, 편의, 잔차의 표준 편차 등의 통계량을 분석하여 각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수간곡선 모델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낙엽송의 수간생장을 표현하는 데에는 Kozak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Kozak 모형을 이용하여 낙엽송의 지방별 수간재적표를 조제하였다. 새롭게 개발된 지방별 수간재적표와 전국단위의 낙엽송 수간재적표와 비교한 결과, 홍천, 평창, 영주 3지역 모두에서 현재 재적표보다 재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0.000<α=0.05), 또한 그리고 지방별 재적표간의 재적은 통계적으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0.603>α=0.05), 평균의 단순 비교에서는 홍천, 평창, 영주 순으로 재적이 높게 나타났다.
Current standard volume tables might underestimate or overestimate the volumes of individual trees in a specific region because the standard volume tables for the whole country were made using the data from broad regions within South Korea.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local stem volume tables reflecting the local growth pattern and properties using stem taper equations in the regions of Pyeongchang, Hongcheon and Yeongju. We developed the local stem volume table for Larix kamepferi, which is the widely planted species following pinus densiflora in South Korea. To derive the most suitable taper equation for estimating the stem volume of region, three models of Max & Burkhart, Kozak and Parresol et al. were applied and their fitnes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the Fitness Index, Bias, and Standard Error of Bia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are high level of significant in all three models, and the Fitness Index of the Kozak model was the highest among three models for estimating a tree growth pattern of L. kamepferi. Therefore, the Kozak model was chosen for generating stem taper equation and stem volume tables for the L. kamepferi. The result from the developed stem volume tables of each region was compared to the standard stem volume tables with driven by the data of tree growth obtained throughout the n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local stem volume table is higher than standard volume tables in all three regions, Hongcheon, Pyeongchang and Yeongju a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0.000<α=0.05), and also there is not significant (0.603>α=0.05) among local the stem volume of the three regions, but the volume size shown in order of Hongcheon, Pyeongchang and Yeongju in simple comparison with the means of vol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