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굴성 박쥐 7종의 온도선호도와 동면처 선택 KCI 등재

The Thermal Preference and the Selection of Hibernacula in Seven Cave-dwelling Ba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51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동굴을 잠자리로 이용하는 동굴성 박쥐의 동면생태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2005년부터 2011년까지 6회의 동면기간 동안 수행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박쥐가 출현된 140개의 동면장소에서 관박쥐, 문둥이박쥐, 검은집박쥐, 긴가락박쥐, 관코박쥐, 대륙쇠큰수염박쥐, 흰배윗수염박쥐, 붉은박쥐, 큰발윗수염박쥐, 물윗수염박쥐, 토끼박쥐등 총 13,288개체를 확인하였다. 동굴성 박쥐 7종의 온도선호도는 종 간 차이를 나타냈다. 동굴성 박쥐 7종 가운데 붉은박쥐의 평균 체온은 13.64±0.7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관박쥐와 긴가락박쥐의 평균 체온은 9.19±2.35℃와 7.83±1.94℃였다. 반면 저온을 선택한 관코박쥐의 체온은 2.64±0.98℃, 토끼박쥐는 2.78±0.98℃, 검은집박쥐는 2.76±1.68℃, 물윗수염박쥐는 4.4±1.1℃로 다른 3종(붉은박쥐, 긴가락박쥐, 관박쥐)의 온도선호도와 차이를 나타냈다. 종 간 차이를 나타낸 7종의 체온은 대기온도(Ta)에 비해 암벽온도(Tr)와 밀접하게 상관되었다. 동굴성 박쥐 7종의 동면장소 별 출현된 박쥐의 종 수는 동면장소의 온도특성에 의해 차이를 나타냈다. 동면장소의 온도가 고온특성을 나타내고 대기온도 범위가 좁은 동면장소(HTR, 동면저의 최저온도가 7℃ 이상)에 출현된 박쥐 종수는 1.44±0.53로 가장 낮았지만, 동면장소의 온도가 저온특성이고 대기온도 범위가 좁은 동면장소(LTR, 최고온도가 7℃ 이하인 곳)에서 출현된 박쥐의 종수는 2.77±1.72였다. 동면장소의 온도가 저온과 고온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대기온도 범위가 넓은 동면장소(WR)에서 3.02±1.36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Bats hibernating in caves and unused mines were surveyed during six hibernation periods (from December to February, 2005 and 2011) in Korea. We recorded 13,288 individuals of 11 species at 140 hibernacula (60 caves and 80 abandoned mines): Rhinolophus ferrumequinum (n=3,509), Eptesicus serotinus (n=6), Hypsugo alaschanicus (n=349), Miniopterus fuliginosus (n=5,919), Murina hilgendorfi (n=417), Myotis aurascens (n=294), Myotis bombinus (n=2), Myotis formosus (n=401), Myotis macrodactylus (M.mac, n=151), Myotis petax (n=2,131) and Plecotus ognevi (n=109). We studied the thermal preference and selection of hibernacula of seven dominant bat species. Four species (Myotis petax, Hypsugo alaschanicus, Plecotus ognevi and Murina hilgendorfi) hibernated mainly at the cold site below than 7℃, while three species (Myotis formosus, Rhinolophus ferrumequinum and Miniopterus fuliginosus) hibernated at warm site above than 7℃. Rhinolophus ferrumequinum had broad-ranged temperature zone for their hibernating site. The mean body temperature of each species was 2.64±0.98℃ for Murina hilgendorfi, 2.76±1.68℃ for Hypsugo alaschanicus, 2.78±0.98℃ for Plecotus ognevi, 4.52±1.02℃ for Myotis petax, 7.83±1.94℃ for Miniopterus fuliginosus, 9.19±2.35℃ for Rhinolophus ferrumequinum and 13.64±0.76℃ for Myotis formosus, respectively. The body temperatures of hibernating bat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rock surface temperatures rather than the ambient temperatures. In conclusion, the diversity of bats community in hibernacula were closely related to the range of inner ambient temperature of hibernacula, and more species of bats were occupied at sites presenting a broad range of ambient temperatures.

저자
  • 김선숙(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본부 생태서비스연구팀) | Kim, Sun-Sook
  • 최유성( 국립생태원 기초생태연구본부 생태진화연구팀) | 최유성
  • 유정칠(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한국조류연구소) | 유정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