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젖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밀배아로부터 2-Methoxy-1,4-benzoquinone (2-MBQ) 및 2,6-Dimethoxy-1,4-benzoquinone(2,6-DMBQ)의 생산 KCI 등재

Production of 2-Methoxy-1,4-benzoquinone (2-MBQ) and 2,6-Dimethoxy-1,4-benzoquinone (2,6-DMBQ) from Wheat Germ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55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산업식품공학 (Food Engineering Progress)
한국산업식품공학회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세포외 β-glucosidase를 생산하는 효모 37개 균주와 Lactobacillus 젖산균 5개 균주 중에서 세포외 β-glucosidase 효소활성이 우수한 Lactobacillus zeae와 Pichia pijperi을 선발하였고, 2-MBQ와 2,6-DMBQ 생산을 위한 밀배아 발효의 스타터로 사용하였다. P. pijperi 균주만을 이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한 경우 2-MBQ는 거의 생성되지 않았으며, 2,6-DMBQ는 발효 개시 후 36시간과 48시간이 경과한 후 각각 0.02±0.01 mg/g 및 0.02±0.001 mg/g의 농도로 생성되었고 Lb. zeae 균주만을 이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한 경우에는 발효개시 후 36시간과 48시간이 경과한 후 2-MBQ는 0.21±0.02 mg/g에서 0.28±0.06 mg/g으로 증가하였고 2,6-DMBQ 생성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효모와 젖산균을 동시에 사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했을 때에는 발효 개시 후 36시간이 경과한 후 2,6-DMBQ의 생성량은 효모 및 젖산균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2-MBQ의 농도는 0.39±0.06 mg/g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48시간이 경과하면 더욱 증가하여 0.46± 0.07 mg/g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젖산균인 Lb. zeae 균주가 효모인 P. pjperi보다 상대적으로 2-MBQ 및 2,6-DMBQ를 생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두 균주를 동시에 사용하면 각 균주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2-MBQ 및 2,6-DMBQ를 생산하는데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Wheat germ contains the glycosylated forms of 2-methoxy-p-benzoquinone (2-MBQ) and 2,6-dimethoxy-p-benzoquinone (2,6-DMBQ), both of which have antimicrobial and immunostimulatory effects. Conversion of glycosylated 2-MBQ and 2,6-DMBQ to their more functional unglycosylated forms requires enzymatic action of β-glucosidase. We investigated the applica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that produce β-glucosidase as starters for production of unglycosylated 2-MBQ and 2,6-DMBQ from wheat germ. Lactobacillus zeae and Pichia pijperi were selected through β-glucosidase enzyme assays for 37 yeast strains and five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Lb. zeae was more efficient than P. pijperi at producing 2-MBQ and 2,6-DMBQ from wheat germ. After 48 hr of fermentation with a mixed culture of Lb. zeae and P. pijperi, the concentration of 2-MBQ was 0.46±0.07 mg/g, indicating an approximately 1.6-fold higher concentration than that obtained by pure culture of Lb. zeae.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2,6-DMBQ was not significantly enhanced by fermentation with a mixed culture of Lb. zeae and P. pijperi.

저자
  • 유종길(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Jong-Gil Yoo
  • 김명동(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Myoung-Dong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