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혁신선호 경향이 강한(조기수용자) 학생들의 G러닝 활용 동기와 G러닝을 통한 학 습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혁신선호 경향이 강한 학생들의 G러닝 활용 동기는 사회적 관계와 유행, 과시라는 것을 밝혔다. 또 이 학생들은 G러닝 학습 과정에서 높은 몰입도 와 흥미도를 나타내며, 결과적으로 학습성취도도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motivations of early adaptor students in using G-Learning. Also, it has tested academic effectiveness in G-Learning process. As a result, it has found that early adaptor students prefer G-Learning for social relationship, following the trend and showing off to their colleagues. Furthermore, the students showed high academic motivation, which made them taking high performance in their su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