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4종 해충의 발육과 생식에 대한 전자빔과 X-ray의 억제선량 KCI 등재

Doses of Electron Beam and X-ray Irradiation for Inhibition of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in Four Insect Pes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2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4종 해충(복숭아혹진딧물, 점박이응애, 아메리카잎굴파리, 대만총채벌레)에 이온화에너지인 전자빔과 X-ray를 각각 조사하여 이들 해충 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억제선량을 결정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 약충에 전자빔과 X-ray 조사 시, 전자빔의 경우에는 100 Gy, X-ray의 경우에는 30 Gy에서 우화성충의 산자가 완전히 억제되었다.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의 경우 200 Gy (전자빔)와 50 Gy (X-ray)에서 각각 F1 세대 약충의 우화가 억제되었다. 그러나 이들 두 이온화에너지 모두 성충수명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점박이응애의 알에서는 전자빔 150 Gy와 X-ray 50 Gy 선량에서 알의 부화가 완전히 억제되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 번데기에서는 X-ray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우화율이 감소하 였다. 대만총채벌레 성충에 조사 시 전자빔의 250 Gy와 X-ray의 200 Gy 선량에서 F1 세대 알의 부화가 완전히 억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hibitory doses of electron beam and X-ray irradiation by comparing their effects on the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four insect pests (Myzus persicae, Tetranychus urticae, Liriomyza trifolii, and Frankliniella intonsa). When M. persicae nymphs were irradiated with 100 Gy of electron beam and 30 Gy of X-ray beam, offspring production by adults that developed from the treated nymphs was completely inhibited. When M. persicae adults were irradiated with 200 Gy of electron beam and 50 Gy of X-ray beam, emergence of the F1 generation was inhibited. However, these two ionizing radiations did not affect adult longevity. When T. urticae eggs were irradiated with 150 Gy of electron beam and 50 Gy of X-ray beam, egg hatching was completely inhibited. When L. trifolii pupae were irradiated, the emergence rate decreased with increasing doses of X-ray irradiation. After F. intonsa adults were irradiated with 250 Gy of electron beam and 200 Gy of X-ray beam, egg hatching of the F1 generation was completely suppressed

저자
  • 윤승환(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Seung-Hwan Yun
  • 김민준(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Minjun Kim
  • 김현아(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Hyunah Kim
  • 이선우(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Seon-Woo Lee
  • 유대현(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Dae Hyun Yoo
  • 김현경(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Hyun Kyung Kim
  • 구현나(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Hyun-Na Koo
  • 김길하(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Gil-Hah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