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숲 태교 프로그램이 임산부의 스트레스와 정서안정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Effects of Forest Prenatal Education Program on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of Pregnant W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31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숲 태교 프로그램이 임신 스트레스 감소와 정서안정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전국에 있는 임신 24주에서 38주 사이의 임산부들로 임신 중 합병증이 없고 태아에 이상이 없는 임산부 133명을 대상으로 숲 태교 프로그램을 실시하 였고, 숲 태교 프로그램은 전국에 있는 국립자연휴양림에서 2011 년 4월 9일부터 12월 18일까지 총 11회기를 각 회기별 2박3일(8 회), 1박2일(3회) 실시하였으며, 대조군 없이 실험군 단일집단의 사전-사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Ahn(1984)이 개 발한 임산부의 스트레스 척도와 Ryu(2003)가 재구성한 정서안정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임산부의 스트레스 하위요인에서 태아 스트레스는 3.04점에서 2.38점으로, 임부 스트레스는 2.95점 에서 2.35점으로, 배우자 스트레스는 2.44점에서 1.92점으로 감소 하였고, 임신 스트레스 전체적으로도 사전 2.87에서 사후 2.26으 로 낮게 나타나, 숲 태교 프로그램이 임산부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 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001). 임산부의 정서안정 하위요인에서 긴장과 불안은 5.32점에서 5.77점으로, 근심과 두려움은 4.77점에 서 5.41점으로, 자신감과 낙관은 4.87점에서 5.36점으로, 만족과 평온함은 4.90점에서 5.38점으로 증가하였고, 정서안정 전체적으 로도 사전 4.98에서 5.50으로 크게 증가하여, 숲 태교 프로그램이 임산부의 정서안정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01, p< .001). 본 연구 결과 자연친화적 숲 태교 프로그램은 임산부의 스트 레스 감소와 정서안정 증진은 물론 태아의 건강한 출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impact of forest prenatal education program on stress relief and emotional stability of pregnant women. The study implemented questionnaire survey for 133 expecting mother, from 24th week to 38th week, and total 11 sessions of forest prenatal education program from April 2011 till December 2011. The program consisted of various programs such as five-sense experience in forest, meditation, wisdom from the forest, Forest mobile-making, concert in the forest, etc. The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rom pregnant women stress scal and emotional stability scale. Pregnant women stress scale is composed of baby stress, mother stress and spouse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scale has total 4 sub factors of 1) nerve and anxiety, 2) worry and fear, 3) satisfaction and stability, and 4) confidence and optimism. To analyze the data, SPSS/WIN 18.0 software was used, and t-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pregnancy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gap before and after the forest prenatal education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pregnancy stress level chang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p<.011), from 2.87 before the program to 2.26 after the program. Second, emotional stability of the expected mothers grew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from 4.98 in the pre-program score to 5.5 in the post-program score(p<.01, p<.001). Based on the findings, forest prenatal education program can be an effective means to deliver positive changes in expected mothers’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저자
  • 정선희(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Sun-Hee Jang Corresponding author
  • 구창덕(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Chang-Duck Koo
  • 주상준(산림생태문화연구) | Sang-Joon J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