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경용 상록활엽수로서 종가시나무의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 특성 KCI 등재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Quercus glauca as Landscaping Broad-leaved Evergreen Tre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33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겨울철 도시경관의 향상과 생태적 건전성을 위해 조경용 상록활 엽수 종자 및 묘목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이다. 본 연구는 종가 시나무에 대하여 채종시기와 종자크기에 따른 종자발아 및 유묘생 장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경남 진주시에 위치한 남부산 림자원연구소(N35°09’58.62”, E128°06’23.42”, 67m)에 식재 된 종가시나무에서 2011년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30일 간격으 로 종자를 채집하여 종자크기에 따라서 3가지로 구분하고 종자특 성과 발아 및 유묘생장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종자의 수 분함량은 채종을 개시한 11월에서부터 이듬해 1월까지 점차 증가 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배의 피해가 증가하 며 특히 대립에서 더욱더 많은 피해가 나타냈다. 발아율은 채종경 과일수와 종자 내 배의 피해 유무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상관 을 나타냈고, 종자크기와는 뚜렷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12월 까지 채종된 종자는 높은 발아율을 보였지만 이후에는 점차 발아율 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발아속도, 발아지수, T50값도 11월과 12월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유묘생장은 채종경과일수와 상관 을 나타내지 않았고, 종자크기와 유의성 있는 상관을 나타냈다. 종 자크기가 클수록 총 건중량이 높게 나타냈으며, 11월부터 12월까 지 묘목품질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건전 한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을 위해서 종가시나무의 채종시기는 12월 까지가 적합하며 상대적으로 큰 종자를 선별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 로 판단되었다.

The seeds and seedling of broad-leaved evergreen trees are being required to improve urban landscaping and ecology in winter seas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Quercus glauca with seed collecting time and seed size. From Nov. 15, 2011 to Feb. 15, 2012, the seeds were collected at 4 different times with 30 days increment from the plants grown at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in Jinju (N35°09’58.62”, E128°06’23.42”, 67m) and divided into 3 groups (small, middle and large grain) according to the size within each collecting time. The characteristics of seed itself,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were evaluated with the days of collection (collecting time) and seed size. The water content of seeds gradually increased as the days of collection increased between Nov. 15, 2011 and Jan. 15, 2012. The number of damaged embryos (%) also increased with the days of collection during the experiment and the large grains were significantly damaged more than the others. Seed germination was correlated with the days of collection (r=-0.824, p<0.01) and the number of damaged embryos (r=-0.644, p<0.05), but not correlated with seed size.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 until Dec. 15, 2011, but decreased from Jan. 15, 2012. The germination rate, germination index, and T50 also showed better between Nov. 15 and Dec. 15, 2011 compared with those values during the rest period. Total dry weight as a variable of seedling growth was correlated with seed length*width (r=0.785, p<0.01), but not correlated with the days of collection. Total dry weight showed higher in large and middle grains than in small grains. Seedling quality index (SQI) showed higher between Nov. 15 and Dec. 15, 2011.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we would select larger grains among the seeds harvested through December to obtain better seedlings.

저자
  • 최수민(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Su Min Choi
  • 신현철(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Hyeon Cheol Shin
  • 박용배(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Yong Bae Park
  • 윤준혁(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Jun Hyuck Yoon
  • 허근영(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Keun Young Huh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