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비철석 입자 혼합 토양내 상추(Lactuca sativa L.)의 비소이온 흡수와 축적 KCI 등재

Uptake and Accumulation of Arsenate on Lettuce (Lactuca sativa L.) Grown in Soils Mixed with Various Rates of Arsenopyrite Grav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38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비소 함유 골재를 토양개량제로 사용하였을 경우 광미에 포함된 유효태 또는 광물로 존재하는 비소가 용출되어 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 한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1. 중세사에서 자갈크기의 유비철석 입자시료에서는 비 소가 약 95.28 mg kg-1 정도 함유된 있으나 밭토양 시 료에서는 비소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상추 재배토양에 함유된 양을 기준으로 생물학적 이용 가능 비소와 그리고 상추로 전이된 비소의 양의 비율 을 비교한 결과 토양으로부터 생물학적 이용 가능 비 소 형태로 전환된 비소의 비율은 최저 2.20%에서 최 대 3.31%로 조사되었다. 3. 상대적 생물학적 이용가능 비소와 상추내 비소 지수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이의 비소 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추의 엽장, 엽폭, 엽수, 생체중과 건 물중 모두 반비례로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입자직경이 토양보다 큰 모래 또는 자갈크기의 비소를 포함한 자갈이 혼합량이 증가됨에 따라 식물가용수분 함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상추가 자라는 동안 비소 를 포함된 유비철석입자부터 비소가 토양내로 용존되 어 작물체내로 전이기 증가되어 상추 엽장, 엽폭 엽수, 생체중, 그리고 건물중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한다.

Arsenic (As) is nonessential element toxic to plants. In Korea little is not only known about the extent of actual anthropogenic sources and inputs of arsenic to the agricultural land which plays a active role as a sink, but also systematic research on arsenic as an toxic element entering the food chain via the soil-plant pathway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the fields and greenhouses besides in few places of abandoned mining sit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effect of As-contaminated soils on As uptake and biomass production of lettuce plants. In this study, As concentrations in the soil and accumulation of As in lettuce transferred by As uptake from soils were investigated. To do this, soil which was mixed with various rates of arsenopyrite gravels containing arsenic from 0 to 100% was packed into a round plastic pot. Then, 10 days old vegetable crops of chinese cabbage and lettuce after germination were transplanted into a pot. Growth of lettuce was observed for four weeks with one week interval. All experiments were done by triplica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rates for number of leaves, width and length of the crop plants were retarded with increasing amount of gravel mixed due to increasing bioavailable amount of arsenate with increasing rate of gravel in soils. With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bioavailable amount of arsenate can influence the growth of lettuce.

저자
  • 심호영(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Ho-Young Shim
  • 이교석(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Kyo-Suk Lee
  • 이동성(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Dong-Sung Lee
  • 전대성(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Dae-Sung Jeon
  • 신지수(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Ji-Su Shin
  • 김수빈(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Soo-Bin Kim
  • 조진웅(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Jin-Woong Cho
  • 정덕영(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Doug-Young Ch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