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육성 화훼류의 향기 패턴을 비교하고 육종과정의 선발단계에서 향기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구 분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향기를 보유한 대 표적인 화훼작물인 장미, 나리, 프리지아, 카네이션, 난의 화기조직으로부터 향기를 포집하였다. 전자코 시스템의 소 프트웨어에서 향기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 (Principle Component Analysis)과 판별분석(Discriminant Factoria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판별분석 결과 나리는 1사분면, 프리지아는 2사분면, 카네이션과 장미는 3사분 면, 난은 4사분면에 위치하였다. 이것은 센서 감응도에 따 라 다른 그룹을 형성하고 있어 화훼류 향기 패턴의 구 분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같은 화훼류 품목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강한 향기를 가지는 품종은 control에서 멀고, 향기가 없거나 약한 품종은 control가까이 군집을 형성하 여 향기의 강약에 대해서도 객관적인 자료 제시가 가능 하였다. 나리와 난의 센서 반응곡선을 레이더 형식으로 나타내 보았을 때 향기의 강약 차이를 확연히 알 수 있 었다. 이로써 전자코를 이용한 화훼류 향기 분석 시스템 은 향후 주요 화훼류의 방향성 육종을 위한 선발단계에 객관적인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ragrance pattern in domestic breeding floriculture crops and distinguish objectively evaluate whether the degree of floral scent in the selection stage of the bred process. We collected the volatiles from the flower tissues in representative flower having different intensity of fragrance such as rose, lily, freesia, carnation, and orchid. Then we analyzed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and Discriminant Factorial Analysis (DFA) for the identification of fragrance difference in software of electronic nose system. As a result of DFA analysis, flowers were categorized in different quadrants as, lily was in quadrant 1, freesia, carnation were in quadrant 2, 3 respectively and rose and orchid were in quadrant 4. This showed it was possible that fragrance pattern could represent the different group depending on the sensor’s sensitivity. Although the same floricultural crops, that could be expressed objective data about the degree of fragrance intensity, because the strong fragrant variety was far from the control and non or weak fragrant one was near in grouping. We could distinguish significantly the floral scent intensity through analyzing the radar plot of the responses of sensors. So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the fragrance analysis system for the fragrant breeding as objective data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