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문계고등학생의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by Using Bibliotherapy to Reduce Test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93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시험불안을 가지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험불안 감소를 위 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프로 그램 개발 과정은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5단계로 이루어졌다. 조사단계에서는 다양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시험불안을 가진 인문계 고등학생 96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 다. 분석단계에서는 조사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목적, 회기별 목표, 회기 수를 결정 하였다. 설계 및 구안단계는 목적, 목표, 회기별 목표에 따라 선별된 활동 안을 이론전문가 및 현장전문가의 자문과정과 예비검사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여 총 12회기의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적용단계에서는 경남소재 H인문계 고등학생 2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을 무선배치하고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전과 후에 시험불안 검 사를 실시하고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으로 자료처리를 하였으며, 참가자의 경험보고서,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문계 고등학생의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독서치료 활 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시험불안의 하위 영역인 인지 영역, 정서 영역, 일반시험불안 영역에 서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apply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the test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reducing the test anxiety.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school resilience is researched, analyzed, designed, developed and applied. It surveyed 96 to reduce the test anxiety high school students for actual requirement. It developed final program by pilot, experts of theories, on-the-spot experts. The group Bibliotherapy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the test anxiety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Inwoo Park (1995) and designed as a 12-sesson program. For the test tool, the test anxiety test tool (TAI-K) developed by Moonjoo Kim (1991) was used, and the processing of the data was done by using a Mixed ANOVA analysis on SPSS/Windows 18.0 software. To compensate the limitation of the quantitative results, the self-report of the members of the groups and the observation reports from the counselors were analyzed as well. The finding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test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the test anxiety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anxiety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sub-domains also showed that the changes in the cognitive domain and the emotional domain of the test group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significance persisted in the general test anxiety domain as well.

저자
  • 류경남(마산여자고등학교) | Ryu, Gyeong-nam
  • 유형근(한국교원대학교) | Yu, Hyeong-keun
  • 남순임(한국교원대학교) | Nam, soon-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