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부경남지역의 동학농민혁명 확산과 향촌사회의 대응 - 趙性家의 月皐日記 를 중심으로- KCI 등재

Proliferation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and the Contingency Measures of the Rural Society - Based on Cho Seong-Ga's Wolgoilgi

서부경남지역의 동학농민혁명 확산과 향촌사회의 대응 - 조성가의 월고일기 를 중심으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9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본고는 서부경남지역의 저명한 학자로서 동학농민혁명에 관해 상세한 기록을 남긴 조성가의 ..월고일기..를 통해 서부경남지역의 동학의 확산과 향촌사회의 대응을 살핀 것이다. 서부경남지역은 관리들의 탐학과 혹심한 가뭄으로 자주 민란이 일어나고 있었으며, 호남지역 동학농민혁명을 계기로 동학농민혁명이 발발하게 되었다. 1894년 4월 산청 덕산에서 백낙도 등의 동학교도들이 처형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7월부터 호남지역의 지원을 받아 덕산의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다시 활발하게 재개되었다. 동학농민군은 8월 19일부터 곤명의 봉계와 진주의 마동 일대에 모이기 시작하였으며, 동학농민군에 비판적인 사족들을 체 포하기 시작하였다. 이어 9월 초 섬진강을 건너온 순천, 광양의 영호도회소나 구례 등지를 거쳐 남원 등에서 온 호남지역 농민군과 함께 하동,진주, 사천, 곤양 등지를 동학농민군이 장악하게 되었다. 동학농민군은 폐정개혁과 왜적의 침 입을 막아낸다는 명분하에 대규모로 집결하였기 때문에, 진주 병영이나 관아에 서도 동학농민군의 기세를 막아 낼 수 없었다. 이에 조정에서는 관군과 일본군이 합세하여 서부경남지역 동학농민군을 공 격하게 하였다. 그 중 가장 큰 전투는 10월 14일 전개된 하동의 고성산성 전투 였다. 동학농민군은 전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의 무기와 전투기술 에 눌려 끝내 동학농민군은 패배할 수 밖에 없었다. 이어 이곳에 관군이 진격하 고 진주 우병영의 활동이 본격화되면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종식되게 되었다. 당시 동학농민군의 활동에 맞서 경상 우병영에서는 각 지역의 사족들을 군무 참모관으로 임명하고, 지역별로 성첩을 수리하고, 군량미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각 지역별로 요호(饒戶)를 대상으로 군무참모관을 뽑아 향회를 개최하고, 성첩 을 수리하고, 군기를 보수하였으며, 군량을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당시 사족들은 경상우병영의 대책에 대해서 불만이 많았으나, 어쩔 수 없이 자금을 제공하고, 군무에 종사할 수 밖에 없었다. 각 마을에서는 오가작통제를 강화하고 산에 보를 축조하였다. 오가작통제는 경상감영의 지시로 실시되었는데, 각 洞에 오고가는 자를 살펴서 수상한 자취 가 발견되면 통수→두령→통장→영수→관아→감영으로 보고하는 체계를 갖추 었다. 보는 진주 우병영의 지시로 단성이나 옥종면 일대의 산에 많이 축조되었다. 월횡리에서 축조한 사림산 보의 경우, 보의 축조에 마을 사람 전체가 동원되었 다. 마을 사람들은 산의 정상에 성문을 축조하고 보 안에는 사람들이 머무를 수 있는 집을 지었다. 그리고 식수원과 연결하는 길을 내었다. 그러나 이 보는 땅 이 좁아서 마을 사람들이 거주하기 불편하였고, 동학농민군의 신속한 공격에 맞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오가작통이나 보의 축조에도 불구하고, 마을에서는 동학농민 군에 가담한 인물이 점차 늘었다. 월횡리에는 최소한 두 개 이상 동학농민군 조 직이 있었으며, 10월 초 일본군이 진격해옴에 따라 마을 사람들이 동학농민군 에 강제 징집되었다. 대부분 탈출하였으나, 상당수가 동학농민군을 따라 백곡, 수곡, 북평을 거쳐 이동하였으며, 고성산성 싸움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이 고성산성에서 패배함에 따라 전투에 참여하였던 사람들은 죽거 나 피신하였으며, 월횡리에는 도인과 속인의 조사가 시작되면서 동학농민혁명 이 막을 내리게 되었다.

In this study, proliferation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and the contingency measures of the rural society is examined through 󰡔Wolgoilgi󰡕by Cho Seong-Ga, a celebrated scholar in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who kept detailed records of the event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estern Gyeongnam region saw a number of insurrections as a result of corrupt government officials and severe droughts. In tim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of Honam eventually sparked a revolt in the reg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Donghak zealots such as Baek Nak-Do had been executed in Deoksan of Sancheong in April of 1894, around July Donghak peasant forces in the Deoksan area began to resume operations. Starting from 19th of August, Donghak peasants begin to gather around Bonggye of Gonmyeong and Madong of Jinju and set about rounding up local gentries who were critical of the Donghak movement. Later in early September, with the support from Suncheon and Gwangyang's Yeongho chapter, who came crossing the Seomjingang river, and the Honam peasant troops, who came from Nawon via Gurye, the peasant forces were able to control Hadong, Jinju, Sacheon, and Gonyang region. Donghak peasants assembled under the banner of "reform abusive systems," and "banish Japanese invaders." Jinju army and even the government authorities were unable to fend off advances made by the peasant troops. When the Donghak forces took over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a three way battle between government troops, the Japanese, and the Donghak peasants ensued. The biggest clash of them all was the battle of Goseong fortress in Hadong. On the day of October 14, they took to battle in Goseong fortress. Routed by the advanced weaponry and combat skill of the Japanese, Donghak peasant forces had no choice but to suffer defeat. Subsequently, as the government troops made military gains and as the activities of the Jinju regiment began to resume full operation, campaign of the Donghak peasants was stamped out altogether. To ward off advances of the Donghak peasant forces Gyeongsang military headquarters appointed the local gentry as military staff officers, while repairing local fortresses and stocking up on military provisions. From the landed families 40 men were singled out to be appointed as military staff officers and were ordered to hold the hyanghoe in which plans for mending fortress walls, weaponry repair, and military wages were drawn up. There was widespread discontent among the local gentry at the countermeasures of the Gyeongsang military headquarters. However despite trying to dodge enlistment, had no choice but to serve in the military on top of paying a lot of money. Moreover, by the order of the Gyeongsangkamsa, western Gyeong nam region tried to solidify its inhabitants by reinforcing the Ogajaktong network which was basically a centralized reporting system. Once suspicious person or activity is detected, it would be reported to the chain of command in the order of Tongsu→Duryeong→Tongjang→ Yeongsu→Gwan-a→Gamyeong. Furthermore, by the order of the Gyeongsang military headquarters, Okjong and other Danseong region saw an increase in the mountain fortress wall. In case of the Sarimsan fortress constructed by Wolhoengri, the whole villages would be deployed when constructing mountain fortress walls. Fortress gates would be raised and a dwelling place for the villagers would settle near mountain fortress walls as well as ducts layed out to channel water resources. However cramped space along the mountain fortress wall made it unfit for habitation and made it difficult to respond to the swift attack of the Donghak peasant troops. Also, as propagation of Donghak became more active, the number of villagers joining the Donghak cause went up. In Wolhoengri alone, there were at least two or more Donghak organizations. When the Japanese army made an advance in early October, villagers were forced into joining the Donghak troops. Although many were able to escape, considerable number followed Donghak peasant troops into Beakgok and Sugok, all the way onto Bukpyeong, finally ending up in Goseong fortress taking part in the battle. Nevertheless, after the Donghak forces' defeat at Goseong fortress those that had engaged in battle either perished or fled. Thereafter in Wolhoengri inquiries to track down the ascetics began and that would mark the end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저자
  • 김봉곤(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 Kim Bong-G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