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로의 상업화와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삼청동길 일대를 대상으로− KCI 등재

A Study of the Commercialization of Street and Performance Evaluations −Focused on the Whole Area of Samchung-dong Gi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70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삼청동길 이용자들의 이용만족도와 가로의 경관이미지를 분석하여 이에 따른 역사와 전통문화가 보전된 문화지구를 이용객들로 하여금 경관적, 이용적 측면을 모두 충족하는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삼청동길 이용실태 및 행태분석, 경관이미지,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행태 분석 문항에 대하여 빈도분석과 다중응답분석, 장소이미지 및 이용만족도를 살펴보기 위해 산술평균과 요인분석, 종합만족도의 결정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선형회귀분석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이용객들 은 삼청동길의 현대적이고 세련된 분위기로 인해 친구 또는 연인과 함께 어울리는 상호 교류의 공간으로써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었지만, 프랜차이즈나 대형 상점 등으로 인한 현대적인 분위기는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인 측면보다는 물리적 환경에 의해 만족도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어 가로의 프로그램 요소보다는 물리적인 환경의 개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시각적인 효과와 이용객의 만족도를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삼청동만의 스트리트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가로 활성화를 시킬 수 있는 방안이라 사료된다.

In this study, guest and employer perceptions of the landscape of Samcheong-dong are considered. A scenic image analysis exploring the history and traditions of the cultural district is presented in order to examine all aspects of the landscape and urban environment. An analysis of Samcheong-Gil scenic images obtained through a survey of customer satisfaction data raises questions about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response analysis, the weighting of the arithmetic average, and image and use satisfaction; in the absence of a factor analysis, the general satisfaction of the determinants for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must be reconsidered. Results were positive for interactions, as the space is suited to the modern and stylish guests who commonly stay near Samcheong-dong. However, due to the franchises, large shops, and modern atmosphere, some guests found the area off-putting. In addition, the community aspect draws attention to improvements to the physical environment rather than horizontal program elements. Similar results can be produced with visual effects in order to meet both traditional and modern tastes.

저자
  • 김현정(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Kim, Hyun Jung
  • 서주환(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Suh, Joo Hwan
  • 최유나(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Choi, Yoo 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