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마포구 하늘마당조성 기본설계 KCI 등재

Landscape Planning for Sky Park in Mapo-gu, Seou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70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기본설계는 서울시 마포구 아현동의 지형 상 최상부에 인접하여 위치한 3개의 공원을 대상지로 하였다. 설계의 목적은 마포구의 지형적으로 최상부에 위치한 근린공원으로서 하늘을 향해 사방으로 열린 조망형 휴게공원을 주변의 어린이공원, 공공공지와 연계하여 조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위치상 재개발지역의 입주민과 미개발의 기존주거지 사이에 위치하고 주변에 공원녹지가 부재한 환경에서 지역민들에게 휴게, 여가, 운동의 장 그리고 청소년과 어린이들에게는 건강한 놀이공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자 한다. 대상지의 특성을 이용한 설계전략으로는 첫째, 마포구에서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여 사방으로 탁 트인 조망권을 확보하고, 둘째, 2차선도로를 사이에 두고 근린공원 두 곳과 어린이공원, 공공공지의 용도별 공원과 공지가 하나의 영역에 있어 통합설계를 할 경우 서로가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지형적으로 다양한 높이차와 면적을 확보하고 있어 자연지형을 최대한 이용하여 다이나믹한 공간형성을 통한 공간활용 및 시설계획이 가능하다. 또한 절차상 행정기관인 마포구의 협력으로 각기 분리조성 될 공원을 통합 조성함으로써 위의 설계전략들이 실현가능하게 되었다. 본 설계는 현재 도심의 산지경사면 주거지역에 위치한 공원의 활용방안과 분산된 소규모 공원의 통합설계와 조성의 시너지효과를 보여주는 모범적 사례가 될 것이라 여겨진다.

objective was to create neighborhood parks with fine views and resting points as well as to make a connection with adjacent children’s parks and public open space. Moreover, these parks, which are located between areas of redevelopment and undeveloped residential areas, can play a critical role in an area that lacks public green spaces by providing a central place to rest, entertain, and exercise. Design strategies for the sites were as follows: (1) secure an open view from the highest level in Mapo-Gu; (2) obtain synergistic effects by using integrated design methods for an area that includes two neighborhood parks, a children’s park, and public open space separated by two-lane roads; and (3) utilize natural geographic features to maximize space efficiency based on existing topographic level differences and land area. In addition, design strategies were made possible by integrating composition of these parks through collaborative work with the Mapo-gu procedural administration. The final design will be considered an exemplary case in making use of urban parks in hilly residential areas and demonstrating the synergetic effects of applying an integrated design method for small, distributed parks.

저자
  • 이애란(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Lee, Ai R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