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리목은 3개 아목(실잠자리아목, 잠자리아목 및 옛잠자리아목)으로 구성 되어 있다. 형태형질 및 분자마커형질에 의한 다양한 가설이 제시된 가운데 실잠자리아목 및 잠자리아목의 단계통 여부, 옛잠자리아목의 계통분류학적 위치 에 대해서 그리고 각 아목내 상과별 및 과별 관계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결과 가 존재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잠자리목내 7개 상과, 10개 과 총 71종을 대 상으로 COI, 16S rRNA, 28S rRNA 및 EF1-α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이용하 여 한반도 내 분포하는 잠자리목내 두 아목간 및 아목내 분류군간의 계통분 석을 수행하였다. 계통수 작성은 Maximum Likelihood (ML), Baysian Inference (BI), Maximum Parsimony (MP) 및 Neighbor Joining (NJ)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잠자리아목은 모든 분석에서 비교적 높은 노드 수치로 (78~100) 단 계통을 형성하였다. 반면 실잠자리아목은 MP 및 NJ 분석 결과 단계통을 형 성하였으나 ML 및 BI법을 이용한 분석 결과 청실잠자리과 (Lestidae)가 잠자 리아목의 기저부에 위치함으로 실잠자리아목의 비단계통 가능성을 제시하였 으며 이러한 결과는 타 연구에서 일부 제시된 바 있다. 보다 신뢰성 있는 계 통도 확보를 위하여 TOPOLOGY TEST 수행 결과 BI법에 의해 작성된 계통 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로 지지됨을 확인하였다 (ELW, 0.912762; BP, 0.9129; KH, 1; SH, 1; WSH, 1 및 AU, 0.9182624). 추후 보다 심도 있는 분석을 수 행함으로 진화적 관련을 잘 반영하는 계통도를 작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