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의 클라비어협주곡: '바로크에서 고전주의로' KCI 등재

The Keyboard Concertos of Johann Christian Bach: 'from Baroque to Classic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976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서양음악학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한국서양음악학회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초록

바로크의 리토르넬로 형식은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의 클라비어협주곡에서 여러 혁신적 시도를 거치며 그 내부로부터 중요한 변혁을 이루었다. 물론 카덴차의 부재, 불완전한 형태 의 재현부, 투티 리토르넬로의 반복과 같은 리토르넬로 형식의 잔재로 인해 바흐의 클라비어 협주곡은 과도기적 성격을 완전히 벗지 못한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소나타 형식의 틀을 점차 현저하게 구축해나가는 솔로부분의 형식적 중요성은 '이중제시부'와 '발전부', '재현부' 의 거시적 형태로 그 조성적 움직임까지 포함하여 고전주의의 협주곡 형식에 근접하는 결과 로 이어졌다. 주제의 이원성과 공존하는 유기적 구성, '발전'을 모색하는 작곡기법, 리토르넬 로와 솔로의 내적 통일성, 나아가 독주악기로서의 피아노포르테, 유연하고도 가창적인 선율, 관악기들의 투입을 통한 음향확대 시도 역시 새시대적 구상에 속한다. 이로써 바흐는 다음 세대의 피아노협주곡 형성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작곡가들 중 하나로 자리매김한다.

Johann Christian Bach's keyboard concertos added an important change to Antonio Vivaldi's ritornello form through several innovative attempts. It could not break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because of the residuals of ritorinello form like repetition of tutti ritorinello and lack of cadenza, and recapitulation in imperfect form. However, the structural importance of solo part that gradually establishes frame of sonata form results in approaching to the form of the classical concerto including double exposition, development and recapitulation and even tonal organization. In concertos of Bach, the musical languages of the new generation appear such as the well-balanced form with the duality of theme, the technique of motivic development, interrelated ritornello and solo, applying pianoforte as a solo instrument, flexible singing melody, and richness in sound by the inclusion of wind instruments.

저자
  • 나주리 | Julie 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