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프레토리우스, 마테존, 키른베르거, 그리고 정량기호체계 전통 KCI 등재

Praetorius, Mattheson, Kirnberger, and the Mensural Trad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979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서양음악학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한국서양음악학회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요한 세바스천 바흐가 사용한 박자체계와 기보법이 기대고 있는 이론적 인 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결국 이 논문은 바흐의 박자체계와 기보법에 관련된 관습 조명을 위한 기초 작업임과 동시에 이러한 관습이 빚어내는 바흐 음악의 '적절한' 템포 설정을 위한 이론적인 출발점이기도 하다. 바흐의 박자체계와 기보법이 기대고 있는 관습들은 18세기 초 반 독일의 이론서에 담긴 논의들에 천착함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17세 기를 거치며 사라져가는, 그리고 결국 새롭고 현대적인 개념의 박자체계와 기보법으로 대체 되어 가는 정량기호체계 이론의 잔영이 18세기 초 독일 문헌에 여전히 남아 있으며 이것이 바흐의 박자체계와 기보법 이해를 위한 근본적인 전제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논문투고일자

Conceived as a preliminary study of Johann Sebastian Bach's temporal and notational practice, this paper surveys the most fundamental treatises of the early part of 18th century Germany, discussing and prescribing the temporal as well as notational practice of the time. Through a close reading of the treatises, this paper attempts to illustrate various ways in which the important aspects of the mensural tradition codified by Michael Praetorius' treatise, Syntagma Musicum, was carried over to the early part of the 18th century. This paper will show that the treatises under consideration including Johann Mattheson's Das new-eroeffnete Orchestre and Johann Phillip Kirnberger's The Art of Strict Musical Composition all reflect, directly or indirectly, traditions of the mensuration system.

저자
  • 이가영 | Lee, Ka 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