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등과 포충망을 이용한 저항성 형질전환 벼와 비변형 재배 벼간 곤충상 비교 KCI 등재

Comparing of Insect Fauna between Trangenic Rice and Common Rice Cltivar based on Lght Tap and Sweeping Metho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29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하이그로마이신(hygromycin) 저항성 형질전환 동진 벼의 환경위해성 평가 기초자료를 위해 형질전환 벼와 일반 재배 동진 벼에 발생하는 곤충상을 2013년 7월부터 9월까지 조사하고 군집특성을 분석하였다. 형질전환 벼는 경상대학교 LMO(Liv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격리포장 내에서 재배되었고, 일반 재배 동진 벼는 사천시 두량면과 진주시 대곡면에서 재배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LMO 격리포장에서는 총 7목 31과 65종 5,362개체가 채집되었고, 일반재배 벼를 재배하는 두량 1 포장은 총 5목 23과 44종 8,325개체, 두량 2 포장은 총 7목 16과 27종 4,027개체, 대곡 포장에서는 총 9목 30과 54종 4,785개체가 채집되었다. 총 조사된 곤충 종 수와 목 별 개체수의 비율은 딱정벌레목이 각각 29.3%와 88.6%로 가장 높았고, 애넓적물땡땡이(Enochrus simulans (Sharp))는 모든 포장에서 우점종이었다. 포충망을 이용한 쓸어잡기 방법으로 채집된 곤충은 29종으로 유아등 트랩으로 채집된 94종보다 낮았으나, 포장 별 구성종의 개체수 비율은 다양하였다. 전체 곤충 종 군집분석 결과 모든 포장에서 종 다양도가 낮고, 특정 종이 우점하는 등 농생태계 단일 경작지의 특성을 보였다. LMO 격리포장과 동진 벼 3개 포장간 유사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 형질전환 벼와 비변형 벼에서 향후 환경위해성 평가를 위한 곤충상 조사는 유아등과 포충망 조사를 동시에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Q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insects fauna in hygromycin resistant transgenic rice in LMO (Liv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isolation paddy field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nd control cultivation rice (Dongjin cultivar) in three paddy fields (Duryang 1, Duryang 2, Daegok) were evaluated for three months from July to September 2013, using black light trap and insect net sweeping methods. Statistical community analyses were assessed to compare between transgenic and cultivation rice in each sampling method. A total of 5,362 individuals of 65 species from 7 orders were collected in LMO isolation paddy field. In three control cultivation paddy fields, total of 8,325 individuals of 44 species from 5 orders in Duryang 1, 4,027 individuals of 27 species from 7 orders in Duryang 2, and 4,785 individuals of 54 species from 9 orders in Daegok were collected,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insects were Order Coleoptera which caught by 29.3% of total species and 88.6% of total individual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Enochrus simulans (Sharp) (Order Coleoptera). Total caught insect species were 94 species by black light trap, 29 species by insect net sweeping method, however, the proportion of collected individuals were relatively diverse by insect net sweeping method than black light trap. The results of community analysis of all collected insects showed less species diversity including frequent collection of single species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mono-cultivation in agro-eco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survey, using insect fauna comparison between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cultivation rice should be evaluated not by specific method but by pooling the data from light trap and sweeping methods together.

저자
  • 최원석(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Wonsuk Choi
  • 안수정(이랑생물환경연구소) | Soo Jeong Ahn
  • 윤준호(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Joon-Ho Yoon
  • 김현후(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Hyun-Hoo Kim
  • 강주완(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Ju-Wan Kang
  • 박정준(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경상대학교 부속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ung-Joon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