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식용 버섯의 조리방법에 따른 Jurkat 세포주 DNA 손상 보호 효과 KCI 등재

Protective Effect of Edible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Flammulina velutipes, Lentinula edodes)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DNA Damage of Jurkat Cell Lin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38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본 연구는 식용 버섯의 조리방법에 따른 항산화 생리활성의 평가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감소 효과를 통해 조리방법을 달리한 버섯 추출물의 유전독성학적 방호효과를 살펴보았다. Human lymphocyte에 조리방법을 달리한 3가지 버섯(느타리, 팽이, 표고)의 추출물을 처리하고, hydrogen peroxide(H2O2)로 산화적 손상을 준 후, DNA 감소 효과를 Comet assay로 평가한 결과, 모든 시료군에서 산화적 손상에 의한 DNA 손상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3가지 버섯 모두 비조리군이 조리군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냈는데, 이는 조리과정에 의한 페놀성 화합물의 감소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조리군 중에서 볶기와 전이 비교적 낮은 DNA 손상 감소 효과를 나타낸 것은 조리 시 첨가되었던 대두유의 가열 산화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조리된 버섯은 생버섯에 비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감소효과가 낮으나,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손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네 가지 조리법(굽기, 데치기, 볶기, 전) 중 DNA 손상 감소에 효과적인 조리법은 대두유를 사용하지 않은 굽기와 데치기인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portective effect on DNA damage several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Flammulina velutipes, Lentinula edodes)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was investigated using Comet assay. Three edible mushrooms were cooked by grilling, blanching, pan-frying, or by preparing ‘Jeon’ (traditional Korean pancake). Cells were incubated in medium with 4 kinds of samples for 48 h (37℃) were further treated with hydrogen peroxide (H2O2) for 5 min as an oxidative stimulus. Oxidative damage was evaluated by 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Comet assay) and quantified by tail DNA% (TD), tail length (TL), tail moment (TM). Though oxidative DNA damages expressed as TD, TL, TM of 4 cooked samples were higher than raw sample, which means lower protective activities, all samples including raw sample had significantly higher protective effects than the positive control (p<0.05). The protective effect on DNA damage of cooked samples decreased much more when soybean oil added, likely due to the thermal oxidation of oil during cooking. Although heat treatment could degrade protective effect on DNA damage of mushrooms, the cooked mushroom had significant effect on oxidative stress. In conclusion, grilling and blanching were the most advantageous cooking methods to protect oxidative DNA damage induced by H2O2.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리 및 추출 방법   2. 세포 배양조건 및 시료의 pre-treatment   3. 산화적 스트레스의 유발   4. 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5. Image analysis   6.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1. 조리 방법에 따른 버섯의 DNA 손상 보호 효과  요 약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조윤정(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Cho, Yun-Jeong
  • 김경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희
  • 육홍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육홍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