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의 현대한자 구형분석과 관련된 ‘규범’ 고석 KCI 등재

A Study on National-Standard in Current Chinese-Character Structure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8596
  • DOIhttps://doi.org/10.14381/NMH.2013.12.30.1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현대한자의 구형분석 과정에서 가장 기본적인 작업은 구형단위의 설정이고, 그 구형단위를 어떤 기준으로 설정하느냐가 큰 문제로 대두된다. 특히, 簡化 이후의 한자를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는 현대한자학의 입장에서는, 고문자계통의 자형 및 예변 이후의 해서체 자형과의 괴리 현상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계통성과 현실성 문제로 인한 충돌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까닭으로 인해, 현대한자학에서는 전통적으로 없었거나 사용하지 않던 새로운 개념과 용어들이 속속 등장하게 되었고, 중국의 어문정책을 관장하는 국가기관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수용하여 각 종 ‘규범’들을 제정하여 공포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구체적인 구형분석과 관련된 내용들을 수록하고 있는 규범성 문건은 모두 4개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규범’에서 수록하고 있는 내용들과 구형분석결과가 ‘규범’에 따라 相異하게 제시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비교、분석하여 그 得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用語와 관련해서는 結構理據(字理)、部件、拆分 등의 새로운 용어들이 규범용어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4개 규범에서 서로 다르게 제시하고 있는 5개의 부건표를 비교、분석한 결과, 아래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규범의 제정목적에 따라 도출되는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둘째, 각각의 규정제정에 참여하는 구성원의 학문적 견해의 차이로 인한 분석결과의 異同 역시 작은 문제가 아니다. 셋째, 동일한 인원들이 참여하더라도 제정원칙 또는 세부규칙 중의 일부만 수정되더라도 그 결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장차 우리 정책당국 및 학계에서 한자교육을 위한 관련 규범화 작업을 시도할 때 소중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most fundamental work in analyzing current Chinese character structure is to establish structure units, and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standards for the structure units. In current Chinese character studies in which the Chinese character after the simplification, conflicts cannot be avoided between systemicity and practicality that should be caused from the process for coping with the gap between the character shapes of old characters and those of the printed style after the change to Clerical script. In this context new concepts and terms that had not existed or been used began to be introduced to current Chinese character studies, and Chinese national agencies in charge of language planning have established and announced various “national standards” to accept such reality.
There are four documents of national standards containing contents related to concrete structur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problems caused by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standards and the results of structure analysis based on the “national standards” and to identify gains and losses.
The results showed that, as for the terms, new terms such as structure motivation (component) and disassembly have been established as national-standard terms. When the five component tables separately presented by the four national standar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author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ntents may be different based on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national standard. Second, the agreement and disagreement of analysis results caused by the academic differences of the members who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each national standard may also be significant. Third, although same members participated, the results may be considerably different even by partial adjustment in the principles of establishment or detailed regulations. The results may be presented as a reference data for Korean authorities and academic society when relevant national standards are established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관련 규범 및 그 내용
      1. 관련 규범
      2. 주요내용
Ⅲ. 4개 규범간의 異同
      1. 제정목적과 기본원칙
      2. 규범용어
      3. 부건표
Ⅳ. 맺는말
저자
  • 박추현(경상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 겸 남명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Park, Choo-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