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호남지역 유학자의 箴 창작에 관한 통시적 고찰 KCI 등재

Diachronic Study on Proverb Writing by a Confucian Scholar from Honam Area

호남지역 유학자의 잠 창작에 관한 통시적 고찰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86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호남지역 유학자들의 초기 箴 작품은 蘇沿(1390-1441)이 창작한 것으로부터 李恒(1499-1576)이 지은 것에 이르기까지 총 6편이 지어졌다. 그 가운데 2편이 中宗에게 올려진 官箴이다. 그리고 경전 구절을 해석한 것이 3편, 전대의 작품에 차운하여 계승한 것이 1편으로, 의리의 발현을 수사 기법으로 삼은 작품이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
중기는 箴을 지은 유학자가 4명밖에 되지 않아 초기에 비해 인원수가 더욱 줄었지만, 작품의 수량은 7편으로 1편이 더 많이 늘어났다. 하지만 安邦俊(1573-1654)으로부터 黃胤錫(1729-1791)에 이르기까지 150년이 넘는 시기 동안 4명의 유학자가 7편의 작품을 지었다는 것은 초기와 마찬가지로 매우 영성한 상황이라고 밖에 말할 수 없다.
『中庸』 제1장의 ‘莫見乎隱’을 해석한 황위의 「莫見乎隱箴」을 제외하고는 모두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할 수양의 덕목을 해설한 내용들이다. 다만 경계하는 대상이 자신에게 한정되느냐 아니면 자식이나 주변의 타인에게 확장되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 개인적인 용도인 私箴의 범위를 벗어나는 작품은 없다.
후기는 초기 및 중기에 비해 거의 5~6배가 넘을 정도로 많은 분량의 箴 작품이 창작되었다. 그리고 경계의 내용과 방법이 이전과 달리 다양하게 확산되는 경향을 보인다. 奇正鎭(1798-1880)으로부터 柳永善(1893-1961)에 이르기까지 100년 동안 14명의 유학자에 의해 37편의 箴이 지어졌다.
이 시기는 이전보다 양적으로도 월등하게 많을 뿐만 아니라, 수사 기법도 다양한 양상으로 서술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타인을 경계한 작품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것은 구한말의 절박한 시대적·역사적 상황 때문에 箴을 통해 同道의 사람들에게 권면하고자 하는 의식이 반영된 현상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자신 및 학파가 주창하는 성리설을 箴의 문체로 드러내어 밝히고자 한 것도 이전 시기에는 없는 하나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re are six early proverb works written by Confucian scholars from Honam area from the work by So Yeon (1390-1441) to the work by Lee Hang(1499-1576). Two among those were “Gwanjam” (proverb for government officials) dedicated to Chinese government officials. And there were three works which translated the parts of religious scripts, and one work which succeeded the work from previous era; there was substantial ratio of work which used the manifestation of loyalty as rhetoric expression.
During the middle period, only four Confucian scholars wrote proverbs, meaning less number of writers, but the number of works increased by one, having overall seven works. However, over the period of 150 years from Ahn Bang Jun (1573-1654) to Hwang Yoon Suk (1729-1791), the fact that only seven works were written by four writers means just like the earlier period, the proverb writing was still not popular.
Except for Hwang Wi’s “Makhyunhoeunjam,” a translation of 「JungYong」’s Chapter 1 “Makhyunhoeun,” other works explained virtues that can be practiced in daily life. There is difference only in whether the subject is limited to oneself or expanded to his/her children or surrounding others; there is no other work which goes beyond the parameter of “private proverb.”
In later period, five to six times more works were written compared to early and middle period. Also, there was a tendency in which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roverbs differ and expand in various ways. From Gi Jung Jin(1798-1880) to Yoo Young Sun(1893-1961), 37 proverbs were written by 14 Confucian scholars over the period of 100 years.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not only vast number of works, various rhetoric expressions were used in work. Also, above all,high percentage of work advises others, and this trend reflects the encouragement of pursuing the same road due to the later period’s urgent periodical and historical situation. Also, another unique characteristic that could not be seen in earlier period is that Neo-Confucian Theory that scholars or a school insist is reflected in the style of proverb.

목차
1. 서론
2. 解釋과 次韻을 통한 義理의 發現
3. 自省과 訓戒를 위한 德目의 解說
4. 道學의 守護를 위한 自己 確立과 他人 勸戒
5. 결론
저자
  • 全丙哲(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HK교수 겸 남명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전병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