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향기요법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전체효과크기, 중재변인별 효과크기, 종속변인별 효과크기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verall Effect Size, Effect Size on the Moderating Variables, Effect Size on the Dependent Variabl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914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향기요법의 중재변인별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향 기요법에 있어 더 효과적이며 과학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메타분석 선정기준에 의거하여 총 29편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CMA프로그램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효과크기는 ES =0.678로 중간 이상의 효 과를 나타내었다. 중재변인별로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대상별 로는 일반인 집단(ES =0.751)이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향기요법 은 일반인과 환자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향후에 는 일반인집단과 환자집단별로 적절한 중재방법을 제시하는 연구 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적용방법별은 건식흡입법(ES=0.684) 이 확산흡입법(ES=0.643)보다 효과적이었지만 모두 중간이상의 효과크기를 나타냈기 때문에 어떤 방법을 적용하더라도 효과적이 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설계 시 사용자 편의에 따라 선택이 가능 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향기요법 실험기간별 효과크기는 21-30일 이 효과적이었으며(ES =0.905) 실험횟수별 효과크기는 11-15회 (ES=1.095), 실험 1회당 시간별 효과크기는 2분(ES=1.333)이 효 과적이었다. 이는 한 달이라는 기간 동안 주 3회에 1회당 2분이 향 기요법에 가장 효과적인 연구방법이라 판단된다. 향기요법 종속변 인별 효과크기는 심리(ES=0.768)가 효과적이었다. 이는 향기요 법이 심신 이완이 증진되어 심리적 효과와 불안과 우울이 감소된다 는 이론과 일치되는 결과로 볼 수 있다(Hansen et al., 2006). 따라 서 향기요법이 심리적인 문제 개선에 매우 유용한 요법이므로 극도 의 심리적 불안정을 가진 정신질환자(우울증, 공황장애, 피해망상 증, 불안장애 등)에게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향기요법의 각 중재변인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향기 요법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고 향기요법에 대한 후속연구 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향기요법의 구체적이고 세밀한 중재변인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 어 향기요법의 재료는 한 가지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3가지를 혼 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메타분석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기 어려 웠다. 추후연구에서는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 하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ynthetically researches and draw up guidelines direction on aromatherapy. To analyze the data, we selected 29 previous studies which is related with the aromatherapy. Effect sizes on the moderating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whole of aromatherapy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CMA (Comprehensive Meta-Analysis) program. This study implemented meta analysis by using the random-effects model as the results of homogeneity tes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e foun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of 121 from selected studies had upper-middling effects at the level of .678. The effect size of general groups as a study participants had an effect than patient groups at the level of .751. The effect size of dry inhalation as a method inhaling aroma had an effect than diffusion inhalation at the level of .684. And also the effect sizes of period experiments (21-30day), number of time (11-15 time), time once per experiment (2minutes), dependant variables(psychology response) yield effects .905, 1.095, 1.332 and .768 respectively. As the result, this study implies a way which is to derive effectively further studies on the aroma therap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논문의 선정 및 수집과정
  2. 메타분석의 자료코딩과 연구들의 중재변인
  3. 효과크기의 계산
  4. 출판편의 검증
  5. 자료의 분석
 Ⅲ. 결과 및 고찰
  1. 동질성 검정에 따른 분석모형 선택
  2. 전체 효과크기
  3. 향기요법 대상별 효과크기
  4. 향기요법 적용방법별 효과크기
  5. 향기요법 실험기간별 효과크기
  6. 향기요법 실험횟수별 효과크기
  7. 향기요법 실험 1회당 시간별 효과크기
  8. 향기요법 종속변인별 효과크기
 Ⅳ. 적요
 Ⅴ. References
저자
  • 조영민(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Young Min Cho Corresponding author
  • 김동준(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Dong Jun Kim
  • 연평식(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Poung Sik Yeoun
  • 이효은(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Hyo Eun Lee
  • 박근태(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Kuen Tae Park
  • 이은정(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Eun Jeong Lee
  • 이규하(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Kyu Ha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