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커피 바리스타 교육과정 연구

A Research on the Present State of Coffee Brista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01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이벤트학연구 (Journal of Event Sciences)
한국이벤트학회 (Korean Academic Society Of Event Administration)
초록

우리나라의 바리스타 교육을 개설 운영하고 있는 교육기관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교육내용을 23개 목으로 질문한 결과를 살펴보면 커피학개론, 에스프레소머신과 그라인더관리, 에스프레소추출, 커피 스팅, 밀크스티밍, 커피향미 및 커핑실습, 핸드드립커피실습, 카푸치노실습, 바리스타2급자격취득대비 이론 및 시연실습, 라떼아트실습, 커피창업경영, 현장실습 등 12개 교육내용으로 나타났다. 대학부설 생교육원에서는 에스프레소를 이용한 메뉴실습, 그라인더입자(분쇄)조절, 에칭아트, 아이스커피 및 치커피, 바리스타서비스업무, 사이드음료메뉴교육실습 등 6개 교육을 추가하여 총18개 교육내용을 중 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부설평생교육원은 바리스타 자격취득대비 교육을 100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offee industry in Korea has made great strides in recent years. There is a rising interest on working for a coffee shop or opening their own coffee shops along with steady growth in the coffee market.
We carried out a survey asking people working in the barista education-related fields. The survey is contained 23 questions about what the people surveyed think most important educational contents for barista educ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y think that most important educational contents are as follows: an introduction to coffee barista, how to use and adjust machinery, pulling the perfect shot of espresso, roasting coffee, milk steaming, cupping skills and experiment, drip brewing and experiment, cappuccino brewing and experiment, getting barista certified, latte art, coffee shop management training, and field training. It is noted that every academy of continuing education offers barista course combining practice with theory.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국내 커피산업 현황
  2. 바리스타의 직무
  3. 우리나라 바리스타전공 관련 교육기관 현황
 Ⅲ. 연구방법
  1. 연구방법
  2. 연구대상
  3. 조사내용
  4. 조사도구 및 구성
 Ⅳ. 결과분석
  1. 바리스타 교육기관의 특성
  2. 바리스타 교육기관의 교육프로그램 형태
  3. 커피교육기관의 교육프로그램 현황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윤상희(수성대학교 보건복지경영과 외래교수) | Yoon, Sang-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