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용자가 인식하는 국내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방식이 드라마 만족도와 지상파 채널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Perceived Storytelling of TV Shows and Its Impacts on Audience Satisfaction and Channel Bran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11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Broadcasting & Arts Research Institute)
초록

본 연구는 시청자의 입장에서 국내 지상파 채널에서 방영되는 드라마의 주제와 스토리의 유형을 알아보고 스토리 유형과 스토리텔링 방식이 지상파 드라마의 만족도와 지상파 채널 브랜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한 것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수용자들 이 선호하는 스토리 유형은 사랑, 전통문화, 자극, 파격(막장), 성공, 영웅/신화의 6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이 중 국내 지상파 드라마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형은 사랑, 파격, 전통문화 로 나타났다. 스토리텔링 방식 중에는 높은 완성도, 소재의 신선함, 배우의 연기, 배경 음악이 드라마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스토리 유형들과 스토리텔링 방식은 채널별 차이는 있 지만 지상파의 채널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지상파 채널에 대한 태도 각각에 영 향을 미치는 스토리 유형으로는 MBC의 경우 자극, KBS와 SBS의 경우 공통적으로 파격이라 는 스토리 유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토리텔링 방식 중에는 MBC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은 발견되지 않았고 KBS에는 높은 완성도, SBS에는 스토리의 표현력과 소재의 신선 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드라마 제작에 있어 스토리텔링 전략과 방송사의 채널 브랜드 관리 차원에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storytelling elements of Korean TV shows, and explores the impacts of story dimensions and storytelling on audiences’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Korean network TV channels. It is found that story dimensions are love, traditional culture, stimulating, unconvention, success, and hero/myth. Among these story dimensions, love, unconvention, and traditional culture were positively related to satisfaction of TV shows. As storytelling, completion, story novelty, acting, and background music influenced satisfaction of TV shows. In addition, it is also found that stimulating influenced attitudes toward MBC, and unconvention affected both attitudes toward KBS and SBS. Among storytelling ways, completion influenced attitudes toward KBS, and story expression and novelty affected attitudes toward SBS. These results could provide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regarding TV show storytelling and its additional effects on channel brand managemen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드라마 스토리텔링
  2) 채널브랜드
 3. 방법론
  1) 표본
  2) 측정
 4. 결과
  1) 드라마의 스토리 구조
  2) 가설 검증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전종우(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