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성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20대 여성 대학(원)생 이용자의 지속적 커뮤니티 이용의도,페미니즘 성향을 중심으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11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Broadcasting & Arts Research Institute)
초록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과 온·오프라인 정치참여 정도가 적 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이 연구는 20대 여성 대학(원)생들의 온라인 여성 커뮤니티 이용동기와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여성의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을 촉진하고, 정치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여성 커뮤니티 효과는 지속적 커뮤니 티 이용의도와 페미니즘 성향(양성 평등에 대한 인식, 세부적 정치적 협약)으로 세분화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커뮤니티 이용동기는 ‘소통’, ‘자기표현’, ‘정보추구’, ‘여성 정체성’, ‘현실도피 및 긴장해소’등 5개로 나타났다. 여성 커뮤니티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정보 추구 동기, 현실도피 및 긴장해소 동기, 여성 커뮤니티 이용빈도, 태도와 인지된 행위통제 변인 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양성 평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정보추구 동기, 여성 정 체성 동기, 태도, 인지된 행위통제 변인이었다. 세부적 정치적 협약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 통 동기, 자기표현 동기(-), 정보추구 동기, 여성 정체성 동기, 인지된 행위통제 변인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20대 여성이 지속적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캠페인 전략과 여성 정치인식 또는 여성 정치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캠페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It has been said that women have involved in online and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s less than men do. In this respect, we propose this study to promote women’s online communities use and set up strategies for drawing political participations by investigating use motives and effects of online women’s communities in their 20s. Specifically, the effects of those online communities are divided into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dimension of feminism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and specific political agendas) The result shows that use motives are defined as “communication”, “self-expression” , “seeking information”, “gender identity”, and “escapism and ease of tension.”The vari-ables that have an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are “seeking information”, “escapism and ease of tension”, “frequency of usage”, “attitude”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lso, the variables that have an effect on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are “seeking information”, “gender identity”,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The variables that have an effect on specific political agendas are “communication”, “self-expression(-)”, “seeking information”, “gender identity”,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ased on those results, this paper will provide proper campaigns for helping women in the twenties to involve in female online communities and campaigns strategies for constructing women’s political awareness or participations in politics.

목차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이론적 논의
  1) 온라인 여성 커뮤니티 현황 및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논의
  2) 이용과 충족 이론을 활용한 미디어 이용 효과의 예측
  3)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한 미디어 이용 효과의 예측
  4) 이용과 충족 이론과 계획행동이론의 융합모델에 관한 논의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4. 연구결과
  1) 온라인 여성 커뮤니티 이용동기
  2) 온라인 여성 커뮤니티 지속적 이용의도 결정요인
  3) 자유주의 페미니즘 성향 결정요인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
  • 이정기(한양대학교 교수학습지원팀 책임연구원) | Lee, Jeong-Ki
  • 최진호(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과정) | Choi, Jin-Ho 교신저자
  • 김성용(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수료) | Kim, Sung Yong
  • 이유진(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석사과정) | Lee, Yoo 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