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 야생 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Wild Mushroom Extracts from Jeju Is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206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는 12종의 야생 버섯에 대한 항산화, 미백 그리고 염증억제 효능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효능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를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미백 효능 검정을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항염 효능 검정을 위하여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 소거 활성(FSC50)에서는 참나무 잔나비버섯 추출물(74.8 μg/mL), 서어나무 잔나비버섯 추출물(182.6 μg/mL)이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IC50)에서는 참나무 잔나비버섯 추출물(346.8 μg/mL)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는 비교 대조군으로 사용한 Arbutin (421.6 μg/mL)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염증 억제 효능 관련 NO 생성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100 μg/mL 처리 시 참나무 잔나비버섯과 때죽나무 잔나비버섯에서 각각 74.1%, 62.9%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들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참나무 잔나비버섯, 서어나무 잔나비버섯, 때죽나무 잔나비버섯에서 화장품 효능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12 species of wild mushrooms in Jeju Isl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s were measured by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determined for the whitening effect. In addition, inhibitory activities of NO production for anti-inflammation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Elfvingia applanata extract and Fomitopsidaceae sp. extracts showed highe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SC50; 74.8 μg/mL, 182.6 μg/mL respectively) than other extracts. Elfvingia applanata extract (IC50; 346.8 μg/mL) showed higher activity than the Arbutin (IC50; 421.6 μg/mL) on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Elfvingia applanata extract and Daedaleopsis styracina extract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74.1% and 62.9% respectively, at the concentration of 100 μg/mL. Furthermore, the extracts inhibited NO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conclusion, we evaluated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12 species of wild mushrooms in Jeju Island, Elfvingia applanata, Fomitopsidaceae sp. and Daedaleopsis styracina could have the functional effects as a cosmetic raw material.

저자
  • 이혜자(대봉엘에스(주) 천연물소재응용연구소) | Hye Ja Lee 주저자
  • 김기옥((재)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 | Gi Ok Kim
  • 박진오(대봉엘에스(주) 천연물소재응용연구소) | Jin Oh Park
  • 주철규(대봉엘에스(주) 천연물소재응용연구소) | Chul Gue J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