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Comparison Study Between Image Analysis and Conventional Methods in the Evaluation of Asian Skin Color KCI 등재

아시아 피부에서 기존 미백 평가방법과 이미지 분석방법의 비교연구 (비타민 C 제형의 이온토포레시스 연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207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최근까지 ChromameterⓇ CR-400, MexameterⓇ M18 그리고 육안평가는 피부색 평가를 위한 주된 평가방법으로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피부색의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성 있는 평가방법으로 이미지 분석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기존 평가방법의 변수들과 이미지 분석을 통해 얻은 V (Value) 값을 이용하여 미백 인체 효능평가를 수행하고 변수들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이미지 분석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효능 평가를 위해 과색소침착으로 고민하는 34명의 시험 대상자를 모집하였고 선정된 시험 대상자들은 8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vitamin C가 함유된 5 종류의 미백 화장품을 사용하는 동시에 일주일에 1회 전기이온영동(iontophoresis) 시술을 받았다. 제품 사용 및 시술 전과 8주 후 기존 평가 변수들과 V 값 측정결과를 비교하고 각 변수들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제품 사용 및 시술 8주 후 V 값은 ChromameterⓇ의 L* 값의 경향과 유사하게 증가하였으며, L* 값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r = 0.494, p < 0.01). 또한, MexameterⓇ의 MI 값(r = - 0.683, p < 0.01)과 육안평가 측정 값(r = - 0.549, p < 0.01)은 V 값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미지 분석의 V 값의 활용은 기존의 평가방법과 더불어 주관적인 육안평가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미백평가 방법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Until recently, the three conventional evaluation methods, which are instrumental (ChromameterⓇ CR-400 and MexameterⓇ M18) and visual assessments have been used frequently for skin color evaluation. However, we took notice the potential of image analysis as a new tool to evaluate color change of skin. To reveal the reliability of the image analysis for the evaluation of whitening agents, 34 healthy female volunteers with hyperpigmentation were recruited, and the selected volunteers applied the whitening products containing Vitamin C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evening and received iontophoresis treatments once a week for 8 weeks. The changes in hyperpigmentation evaluated by ChromameterⓇ, MexameterⓇ and visual assessment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the image analysis. As with L* value trends of the analysis using ChromameterⓇ, the V value from the image analysis increased after applying the test products compared with baseline values. Furthermore, V valu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 value (r = 0.494, p < 0.01)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MI (r = - 0.683, p < 0.01) and VG (r = - 0.549, p < 0.01). Therefore, image analysis may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method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visual assessment for whitening efficacy in Asians.

저자
  • Hye Kyong Park(Ellead / Skin Research Center) | 박혜경 주저자
  • Nam Soo Kim(Ellead / Skin Research Center) | 김남수
  • Tae Kee Moon(Ellead / Skin Research Center) | 문태기
  • Bora Kim(Ellead / Skin Research Center) | 김보라
  • Ho Young Jung(Ellead / Skin Research Center) | 정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