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통합홍수위험관리 측면에서 지역별 홍수방어대책 우선순위 선정을 위해, 홍수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홍수위험지구를 선정할 수 있는 홍수위험도 분석방안 수립 및 적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홍수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홍수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P-S-R (Pressure-State-Response) 구성 체계에 따라 분류하여 3개의 치수특성 평가지표인 압력지표, 현상지표, 그리고 대책지표를 대표하는 총 12개 세부평가지표들을 선정하고, GIS를 이용하여 전국 수자원단위지도 표준유역 공간단위의 자료를 구축하였다. 12개 세부평가지표 항목들을 종합한 홍수위험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지표평균법과 PROMETHEE방법을 각각 적용하여 홍수위험도를 분석하였고, 두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최종 홍수위험도를 결정하였다. 홍수방어대책 수립시 우선순위 선정을 위하여 홍수위험도 상위 20%의 전국 163개 표준유역을 홍수위험지구로 선정하였는 바, 본 연구에서 선정된 홍수위험지구는 추후 현장조사 등 종합적인 검토를 통하여 최종 확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홍수위험도 평가방법은 홍수의 원인, 피해 및 대응에 관한 역학관계의 결과로서, 홍수위험 관련 정보를 공간적으로 분석하여 정부 및 지자체의 홍수방재 관련 정책수립 등의 업무수행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