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에큐메니칼 운동의 교회론에 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the Doctrine of the Church in the Ecumenical Move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345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韓國敎會史學會誌 (한국교회사학회지)
한국교회사학회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초록

2013년 WCC 제10차 부산 총회를 계기로 복음주의 교회와 에큐메니칼 교회가 격렬한 신학 논쟁을 벌였다. 복음주의 교회는 특별히 WCC의 교회론에 대하여 의심이 많았다. 복음주의는 WCC 교회론이 교회의 정체성보다 교회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다가 교회와 세상의 경계선을 무너뜨렸다고 비판했다. WCC 교회론이 정말 그런가?
이 글은 에큐메니칼 운동의 문서들에 대한 역사적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에큐메니칼 운동은 20세기 전반부터 교회 일치를 추구하는 교회론을 발전시켰다. 에큐메니칼 문서는 유기체적 연합에서 협의회적 교제와 코이노니아로 발전하는 교회 일치 개념을 발전시켰다. 둘째, 에큐메니칼 운동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이르러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강조하는 교회론을 발전시켰다. 에큐메니칼 문서는 하나님의 선교 신학에 근거하여 교회를 하나님 나라를 섬기는 종으로 보았다. 셋째, 에큐메니칼 운동은 1990년대에 교회론을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교회의 본성과 사명을 통합하는 교회론을 발전시켰다. 『교회와 세상』과 『하나의 신앙고백』 문서에 의하면, 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코이노니아에 기원을 두고 있고, 교회의 본성은 그리스도인의 공동체이고, 교회의 사명은 하나님의 나라를 가리키는 징표와 하나님 나라의 선교적 사명을 감당하는 도구라는 것이다.
이 글은 이런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에큐메니칼 운동이, 복음주의의 비판과 달리, 1990년대에 이르러 교회의 본성과 사명을 균형있게 강조한 교회론을 발전시켰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앞으로 복음주의 교회와 에큐메니칼 교회 사이에 깊은 신학적 대화가 이루어지를 기대해 보았다.

Preparing the 10th Assembly of WCC, the serious theological controversies took place between Evangelicals and Ecumenicals in Korea. One of them was about the Ecumenical doctrine of the church. Evangelicals argued that the Ecumenical ecclesiology took more stress on the world rather than the church, breaking down the boundary between church and world, weakening the dynamic of the church for the mission.
My question is about the Ecumenical doctrine of the church. Actually, the Ecumenical movement developed its doctrine of the church more fully in 1980s and 1990s. So I thought it was necessary to study the Ecumenical ecclesiology entirely, which has developed since the Edinburgh WMC in 1910.
We may recapitulate that the Ecumenical ecclesiology has developed as follows: first, the exploration of the unity of the church, which started from organic union through conciliar fellowship to koinonia; second, the emphasis on the missionary calling of the church in 1960s and 1970s; third, the integration of the nature and mission of the church in 1990s.
So this study would argue that the doctrine of the church in 1990s would be the Ecumenical ecclesiology, which complemented the previous ones. Indeed, according to the Ecumenical documents in 1990s, the church is the Christian community (koinonia), which is united both with God the Trinity and with each other. In relation to the world, the church is both the sign to point to the Kingdom of God and the instrument to expand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I hope that the Evangelicals might get helped by this Ecumenical doctrine of the church.

저자
  • 송인설(서울장신대학교) | Song, Ins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