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교육 인식 KCI 등재

An analysi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3770
  • DOIhttps://doi.org/10.14328/MES.2014.09.30.8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연구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한국다문화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AME))
초록

이 글은 최근 중등학교에 재학하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증가 비율이 높은 현실을 고려하여 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 인식을 조사 자료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다문화교육 인식은 다문화가정 학생 수용성, 반차별 반편견 다문화교육에 대한 동의, 다문화가정 학생의 지원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고, 담임 경험 여부, 담당 교과, 학교급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차이에 주목하였다. 조사는 전국적으로 다문화가정 학생이 일정 수 이상인 중학교와 고등학교 167개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중학교 교사 1,733명, 고등학교 교사 835명의 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학생의 담임 경험 유무나 담당 교과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담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반차별 반편견 다문화교육 등에 더 동의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담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러나 담당 교과에 따른 차이는 비교적 분명하게 드러나는 편이었다. 국어와 사회과 담당교사는 영어나 그 외 교과 담당 교사에 비해서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해 더 수용적이며 다문화교육에 더 개방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등학교 교사를 위한 연수 등 정책적 대응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acing an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who have immigrant background (hereafter, IB students) in secondary schools in Korea.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decided on the aspects of perception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like the following: agreement of the anti-discrimination/prejudic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upport for the IB students. A total of 167 secondary schools nationwide which have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he IB students were sampled, and 1,733 middle school and 835 highschool teachers responded. To examine the contact hypothesis,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who have worked or are working as an IB students’ homeroom teacher and those who have not. And to consider the difference of teachers’ subject, we also examined the perception differences of three groups - Korean language or social studies teachers, English teachers, and the other subjects teachers. The result of this data analysis showe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s between the group of Korean language or social studies teachers and the other group. And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with IB students’ homeroom teacher and the other group were not so meaningful. These results implied a need to import an implementation policy such as a properly prepared teacher training program.

저자
  • 류방란(한국교육개발원) | Ryu, Bangran
  • 김경애(한국교육개발원) | Kim, Kyung 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