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디지털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부유성 유공충 화석의 권각 방향과 종 분류 결정법 KCI 등재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iling Ratio and Classifying Species of Fossil Planktonic Foraminifera Using Digital Image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44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이미지 분석법을 활용하여 북동태평양 ODP Leg 204 시추 코아 시료에서 산출된 부유성 유공충 Neogloboquadrina pachyderma 권각의 감긴 방향을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결정하였다. 이것은 유공충 군집 이미지에서 N. pachyderma 개체를 자동 인식하게 한 것이며, N. pachyderma 권각 방향을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이 알고리즘을 이용한 새로운 판독 방법을 사용한 결과 유공충 시료에 대한 정량 분석이 빠르게 수행될 수 있게 되었으며, 실제현미경을 통한 관찰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약 90% 만큼 높게 일치하였다. 이 수치는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 분석이 미고생물학 분야에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In this one species of planktonic foraminifers, Neogloboquadrina pachyderma, which has been collected from the sediments cores in the northeast Pacific ODP sites, was computerized through using digitalized images. The foraminiferal communities were analyzed, and the coiling direction of the N. pachyderma was determined by using computer progamming technology. In this way by appling algorithm-based method of reading, the tasks of sorting and analyzing the foraminiferal indiniduals and communities can be performad and high speed on a very large amount of specimens collected. It is found that the study had 90%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stereoscopic observation. This result suggested that digital image analysis could be successfully adopted in the field of micropaleontology.

저자
  • 신상훈(민족사관고등학교) | Shin, Sang-H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