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1970년대 이후 국가경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고, 농업 인구 역시 급속한 감소하였다. 특히 20~30대 청년 농업인력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며, 농업노동생산성의 성장이 정체상태에 있다. 1980년대부터 한국 정부에서는 후계농업경영인육성, 농업대학설립, 농업계 학교 특별프로그램 등 청년 농업인력 확보를 위한 정책 프로그램을 펼쳐왔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나름의 성과를 내고 있지만, 직업으로서 농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긍정적이지 못하고, 농업계 학교 학생들의 농업 분야 진출비율이 저조하고, 농가의 청소년 계층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고, 노령 농업인의 은퇴가 점점 늦어지고, 신규농의 영농진입 연령대가 높아지는 등의 상황을 비추어볼 때, 앞으로 농업인력의 노령화는 지속될 전망이다. 이러한 문제 대한 대안으로 이 연구에서는 농업에 대한 교양 교육 강화, 거점 농업 고등학교에 대한 선별적 집중 지원, 농업계 대학의 농업인력 육성기능 강화, 농업법인을 통한 은퇴농과 신규농의 연결, 지역단위 농업인력 중간지원조직 설치, 신규 청년 농업인의 자본 형성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As the share of agriculture in Korean economy has been decreasing since the 1970s, the Korean agricultural workforce has also declined and agricultural worker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have become scarce. Recent Korean agricultural labor productivity is stagnant in growth. Since the 1980s, Korea has been trying to secure young generation in the agriculture sector and rural areas by launching new programs such as Farm Successor Fostering Program (1981),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ege (1997), and Special Agricultural Program in Agricultural Schools (2006). While each program has its own outcomes, the greying of Korean farmers is likely to continue because of less favorable public perceptions of agriculture, farm youth decrease, old farm retirement and entry, and agricultural school graduates’ scarce entry into farming.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measures: activating education about agriculture; fostering selected agricultural high schools; strengthening the role of agricultural colleges in fostering agricultural workforce; linking retiring farmers and new farmers through farm corporations; launching intermediate organizations in charge of regional agricultural workforce; and supporting capital formation of young far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