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파종방법 및 질소시비량이 총체 벼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Seeding Methods and Nitrogen Fertilizer Rates on the Forag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Whole Crop R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2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시험은 파종방법과 질소시비 수준이 총체벼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체 벼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된 “남일벼”를 이용하여 직파는 4월 25일, 이앙은 5월 25일에 하였다. 질소시비량은 총 5개 수준(90, 110, 140, 170 및 200 kg/ha)을 두고 수행되었다. 출현일, 출수일 및 내병성은 처리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녹색도는 질소시비량이 많아짐에 따라 짙어졌다. 초장은 질소시비량이 많아짐에 따라 커졌으며 분얼수도 증가되었고 직파보다 이앙구에서 더 많았다. 건물함량은 질소시비량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초 및 건물수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늘어났다(p<0.01). 수량은 이앙하는 것이 직파하는 것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1) 직파시는 140 kg/ha, 이앙시에는 170 kg/ha 질소 시비구에서 각각 최고의 수량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파종방법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ADF 및 NDF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TDN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체 벼 재배시 질소시비량이 높을수록 생초 및 건물수량이 증가되지만 수량과 토양환경을 고려하여 적정 질소시비량은 140 kg/ha가 권장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eeding methods and application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on the yield and forage quality of whole crop rice (WCR). The WCR variety “Namil” was directly seeded on April 25 and transplanted on May 25. Five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were applied (90, 110, 140, 170 and 200 kg/h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of the emergence date, heading date and disease resistance based on the nitrogen fertilizer rates; however, the WCR became dark at higher nitrogen fertilizer rates. The plant height increased at higher nitrogen fertilizer rates and the tiller number showed the same trend. In contrast to a direct seeding method, transplanting increased the tiller number. The dry matter (DM) content did not show a certain tendency based on nitrogen fertilizer rates, while the fresh and dry matter yields increased with incremental changes of the nitrogen fertilizer rates (p<0.01), and the transplant method increased the yield size. In yield analysis, the plot direct-seeded with 140 kg N/ha and the transplanting with 170kg N/ha showed the highest yields. The crude protein (CP) content increased with higher nitrogen fertilizer rat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nsplant and direct-seeding methods. The content of ADF (acid detergent fiber) and NDF (neutral detergent fiber) increased with higher nitrogen fertilizer rate, but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ontent decreased with increased nitrogen levels. Although high nitrogen applications increased the fresh and DM yields, the 140 kg/ha nitrogen fertilizer level is recommended as the proper nitrogen fertilizer level, considering both yield and the environments.

저자
  • 김종근(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Corresponding author
  • 박형수(국립축산과학원) | Hyung Soo Park
  • 이상훈(국립축산과학원) | Sang Hoon Lee
  • 정종성(국립축산과학원) | Jeong Sung Jung
  • 고한종(한국방송통신대학교) | Han Jong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