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속가능한 농업 측면에서 유전자변형 농작물에 대한 대학생 인식과 평가 KCI 등재

Assessment and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on Genetically Modified Crops in Sustainable Agricul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68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이 연구는 대학 환경 관련 교양 수강생 41명이 유전자변형농작물(GMO)에 대한 다큐멘터리 시청과 패널토론 후, 지속가능한 농업 측면에서 GMO를 각각 평가하고 비교했다. 그 결과, GMO는 경제적 지속가능성 측면 평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p<0.05)가 있었으나, 사회적 지속가능성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GMO의 경제적 지속가능성에서 다큐멘터리 시청과 패널토론 간 평가 차는 패널토론에서 이공계열(그룹3)과 인문계열(그룹1)/사회계열(그룹2) 간 차에 기인한 것으로,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p<0.01). 다큐멘터리 시청 후 GMO가 경제적 지속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한 이공계열 학생 중 43%가 패널토론 후에는 경제적 지속가능성이 없다고 평가한 이유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GMO로 식량 생산량은 증가했으나 여전히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식량 생산 이익이 다국적기업 이익에만 치중되어 있다. 셋째, 농작물 독과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향후 GMO 기술이 경제·사회·환경과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함의한다.

In this study, 41 college students taking an environmental-related class evaluated genetically modified crops(GMO) in terms of sustainable agriculture after watching a documentary and after having a panel discussio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ir opinions were then compared. The result of students' evaluations of GMO in economic sustainabil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stainability and natural sustainability. The cause of this difference in economic sustainability between a documentary and a panel discussion was the difference of a GMO evaluation between Group 3 and Group 1/Group 2 after a panel discussion; this group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43% of Group 3 students evaluated GMO as a type of economic sustainable technology after watching a documentary, but they did not evaluate it as an economic sustainable technology after having a panel discussion.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 their evaluation after having a panel discussion were as follows. First, GMO increased crop production but could not solve the problem of food shortage. Second, the economical benefit of GMO concentrated on multinational enterprises. Third, a problem of oligopoly of GMO could possible arise. These results imply the direction of GMO technology, which should proceed to support a sustainable agriculture in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economy, society, and nature.

저자
  • 문성채(단국대학교) | Moon, Sungcha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