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우분의 시용이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Mixed-Sowing of Legume and Applying of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Hanwoo Carrying Capacity of Rye (Secale cereale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83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기농업학회지 (Korea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한국유기농업학회 (Korea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초록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 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호밀에 콩과 사료작물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의 적정 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의 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호밀의 연간 조단백질 수량은 지역 시험구 비교에서는 경주 시험구가 경산과 영주 시험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시험구별 단·혼파 비교에서는 사료용 완두 혼파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발효우분 시용수준에 따른 조단백질 수량은 모든 시험구에서 시용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ha당 100, 150kg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사료작물의 사료가치 평가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콩과작물의 월동이 가능한 시험구에서는 호밀 단파보다는 콩과 혼파구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고, 특히 콩과 작물 중 사료용 완두가 높게 나타났다(p<0.05). 유기 한우 사육능력은 경주 시험구가 ha당 3.28두로 경산 시험구의 ha당 1.94두, 영주 시험구의 ha당 1.50두 보다 매우 높았으며(p<0.05), 호밀 단파 보다는 콩과 작물혼파구가, 혼파구에서는 사료용 완두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료가치 증진을 위한 콩과 사료작물 혼파는 겨울철 콩과작물의 월동성을 고려해야 하며, 콩과작물의 월동이 어려운 지역에는 발효우분을 시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또한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발효우분 수준을 ha당 100~150kg 시용과 함께 콩과작물은 사료용 완두를 혼파재배하는 것이 유기 가축사육 능력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xed-sowing of legume forage and applying of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of rye in order to produce the organic roughage to be effectively reducing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 provide Hanwoo rearing farmer with safe organic animal products. The present study also aimed to evaluate optimal applying level of cattle manure and carrying capacity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per unit area. The annual amount of crude protein (CP) of rye in Gyeongju were higher than those of in Gyeongsan and Yeongju, and the mixed-sowing of forage pea was the highest (p<0.05) compared with the single-sowing. The amount of CP were increased proportionately corresponded to the applying level of fermented cattle manure, and found significantly (p<0.05) high at the level of 100 and 150 kg/ha groups. With feed value of forage, CP was tended to be higher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than the single-sowing of rye at the wintering experimental sites of legume, and in particular the forage peas was higher (p<0.05) than other crops. Carrying capacity of organic Hanwoo (head/ha) was higher (p<0.05) in Gyeongju (3.28 head) than that in Gyeongsan (1.94) and Yeongju (1.50). The carrying capacity in the singlesowing of rye also was lower than that in the mixed-sowing of legume, and the forage peas was the highest among the mixed-sowing groups (p<0.05). Overall,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it would be recommended to take into account the wintering for mix-sowing of legume. The fermented cattle manure may be applied for legume in the wintering unavailable regions. In addition, the applying the fermented cattle manure at the level of 100~150kg/ha and the mix-sowing of legume with forage peas may increase the productivity per unit area and feed value including CP for improving carrying capacity of organic Hanwoo.

저자
  • 오명곤(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교수) | Oh, Myeong-Gon Corresponding author
  • 조익환(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 | Jo, Ik-Hwan
  • 황보순(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Hwangbo, 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