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보 편집디자인의 시각적 표현유형과 기억과의 관계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Expression Type of Editorial Design of Company Newsletter and Memo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94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기술발전은 하루가 다르게 급속도로 변해 가고, 영상 매체의 발달로 인해 독서 인구는 점차 줄어드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멀티미디어의 보급과 함께 PC를 이용한 정보통신은 세계 곳곳의 정보를 실시간 전달하고, TV매체를 이용한 뉴스나 드라마, 영화 등을 감상할 수 있어 언제나 친근한 벗이 될 수 있지만, 쉽게 우리의 기억 속에서 사라진다. 이에 반해 신문이나 잡지, 단행본은 수천 년의 역사와 문화를 기록 간직할 수 있고, 좋은 언어와 문자 그리고 사진을 발전시켜 인류의 가치를 보존하고 기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본 연구는 사보 편집디자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독자들이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수 있는 디자인을 연구해 보고, 첫째, 이미지 사용 시 사진+일러스트를 같이 사용하는 경우, 둘째, 타이포그라피 사용 시 고딕체(산세리프체)를 사용하는 경우, 셋째, 컬러 사용 시 헤드라인과 본문 컬러를 같이 사용하였을 때 독자들은 단기기억보다는 장기기억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technology development make drastic changes every day along with the expansion of media gradually influence reducing the popularity of book reading. Propagation on Multimedia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y utilization of personal PC deliver world-wid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could be a close friend because they provide news, dramas, and movies using TV media, but they easily disappear from our memory. On the contrary, newspaper, magazine, and book can record and keep thousands of years of history and culture, and can preserve and recollect values of mankind by developing fine language, letters, and photograph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reate designs which can remain in viewers’ memory for a long time by examining the editing and designing features of the firm’s prospectus and the findings showed that readers are more likely to store the designs in their long-term memory rather than their short-term memory in such cases as follows, first when photographs combined with illustrations were used for images, secondly, when a gothic type(sans serif type) was used for typography, and thirdly, when the same color was used for a headline and body text.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편집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2.1. 편집디자인의 개념
  2.2. 편집디자인의 역사적 배경
  2.3. 사보의 정의와 역할

3. 사보 편집디자인의 시각적 표현 유형
  3.1. 이미지(Image)
  3.2. 타이포그래피(Typography)
  3.3. 컬러(Color)

4. 기억체계

5. 가설설정 및 시각적 표현에 따른 기억과의 관계

6.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최영옥(백석문화대학 디자인학과 교수) | Choi, Young Ok
  • 이현미(세종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Lee, Hyun 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