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화도시 이미지와 박물관 외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the Image of Cultural City and the Exterior Design of Muse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95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최근 국가와 도시들은 박물관 건축디자인이 도시 이미지 향상이나 생활공간의 질, 나아가 도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인식해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여기에 외관디자인도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현대에 이르러 박물관 건물 자체가 하나의 예술로 인정받으며 독특하고 개성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문화도시에서 박물관의 외관 디자인은 그 자체가 단순히 전시공간으로서의 기능만 따르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향상을 위한 특성을 가진다. 특히 문화도시에서 박물관의 활성화는 전시 주제의 인지도 확립이나 수익창출에 의한 지역경제의 활성화로도 직결되지만, 무엇보다도 박물관에 의한 지방자치단체의 가치 창출로 해당지역의 이미지 향상이 이루어진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화도시의 박물관 디자인에 관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외관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내, 외 문화도시의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이미지와 외관디자인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사례조사에서 분석방법을 박물관 외관디자인의 구성요소인 상징성, 조형성, 정체성, 심미성, 지속성, 5가지로 나누어 특성을 분석하고, 경향별로 세분화 하여 외관디자인을 분석 하였다. 박물관 외관디자인 사례분석 결과 외관디자인은 공간과 문화, 도시민과 소통의 매개체로서 문화도시의 이미지와 브랜드를 형성하고,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These days, many countries and cities have seen architectural design of museums as an important element to improve the image of a city, the quality of a living space, and to increase city competitiveness. As a result, they have made a lot of efforts including an effort to improve an exterior design. But in the modern times, the building of a museum has been recognized as an art itself, and presents a unique and individual style. In a cultural city, the exterior design of a museum does not simply follow the function as an exhibition space, but has the characteristic to improve an image. In particular, in a cultural city, activating a museum directly leads into establishing recognition of an exhibition theme, or into promoting local economy based on profit creation, but what matters most is that value creation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museums results in an improvement in the image of a relevant region. As a study method, this researcher conducted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design of museums in cultural citie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xterior design, and studied correlations between urban image and exterior design on the basis of the case study of domestic and foreign museums in cultural cities. In the case study, the museums were first divided in the five categories as components of the exterior design of museum, which are symbolization, formativeness, identity, aesthetics, and continuity, and then were specified by tendency to analyze the exterior design of each one. According to the case study analysis, the exterior design served a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space and culture, and urban residents, and played a critical role in creating and improving an image and a brand of a cultural city.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문화도시와 박물관의 이론적 고찰
  2.1. 문화도시의 형성과 특성
  2.2. 문화도시에서 박물관의 역할
  2.3. 문화도시 이미지와 박물관 외관디자인

3. 박물관 외관디자인 사례연구
  3.1. 박물관 외관디자인의 분석요소
  3.2. 박물관 외관디자인의 사례분석
  3.3. 박물관 외관디자인 평가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안진근(백석대학교 디자인영상학부 교수) | Ahn, Jin K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