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Module for the Remote Education’s Visual Optimization and Structure Analysis
기존의 인터넷 강의는 주로 하드웨어의 기준에 맞게 제시되어 학습자에게 시각적으로 안정된 콘텐츠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우리 주변의 영상출력 장비들 역시 과거 하드웨어적 기준에 의존한 채 그 형태가 정해져 왔으며 현재에도 별다른 규격이 없다. 그러나 최근에 개발된 16:10의 디스플레이 비율은 고대부터 사용되어온 황금비율인 약 1.618:1에 가장 가까운 비율로, 인간의 시야각을 기준으로 조망할 때 시각적인 최적화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금비율과 가장 근접해 있는 디스플레이를 근거로 하여, 여기에 가장 디자인적으로 완성된 구조의 배치를 황금비율에 의해 생성되는 기준선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황금비율에 근거한 모듈을 개발하여 이를 학습 콘텐츠 화면에 대입시켜 그동안의 콘텐츠가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는지의 여부를 살펴봐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인간이 고대부터 사용해 온 가장 이상적인 비율의 사용으로, 최적화된 온라인 학습 환경을 창출하는 동시에 학습자의 학습 환경을 안정적이고 쾌적하게 극대화시키는 결과를 창출할 수 있다. 황금비율에 의해 제시된 모듈의 모형에 대한, 그동안 개발된 원격교육 콘텐츠의 대입은 시각적으로 학습을 방해하는 요인을 없애고 학습효과의 증진을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의 WBI형과 저작도구형의 콘텐츠에, 개발된 모듈을 대입시켜 개선할 부분을 명확히 드러내는 동시에 원격교육 학습의 시각적인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기준에 의해 개발된 모듈을 각종 콘텐츠에 적용한다면 편안한 시각적 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원격교육의 디자인적 모듈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existing internet lectures fail to provide visually stabilized contents to the students since they were mostly developed according to hardware standard. Image output devices around us were also shaped according to the hardware standard. Even today, there are no differentiated specs. However, the 16:10 display ratio that was developed recently is the ratio that is close to the ratio of 1.618:1 which is the golden ratio that was used from the ancient times. It is possible to achieve visual optimization when viewed using the human beings’ viewing angle as the standard.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present the layout of the structure that is most complete at the design level through the standard line that is generated by golden ratio based on the display that is most close to the golden ratio. Towards this end, module based on golden ratio needs to be developed, and this needs to substitute the learning contents screen to assess whether the contents to this day can convey visual stabilization. These efforts can create optimize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by using the most ideal ratio that was used by human beings from the ancient times, and to optimize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 in a stable and refreshing manner at the same time. Substitute with the remote education contents developed until now when it comes to the model of the module proposed by the golden ratio can eliminate the visual impediments to learning and can increase learning effect. To apply as such, this study seeks to create the visual standard for remote education learning while revealing the improvement areas clearly by substituting developed module with the Digital Seoul Culture Arts University’s WBI type and authoring tool type of contents. If the module developed using this type of standard is applied to all types of contents, this could serve as the turning point for developing the design module for remote education while providing comfortable visu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