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공디자인 상품성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ervice design approach for marketability of the public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96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디자인의 특성들을 파악하기 위해 가로시설물 중심으로 문제점과 현상 진단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공공디자인 개발 시 도시의 특성과 문제점을 바탕으로 디자인 콘셉트 또는 디자인 서비스 방법을 제시 도시의 상품성을 높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공공디자인 부문에서 을 설정하였고, 시설물 대상에 관한 현상과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공공디자인의 철학을 제시, 기능적 요소를 추출하여 공공서비스 실천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공공디자인 매뉴얼 인간중심 디자인 패러다임에서 사고의 변화·소통·아름다움을 기반으로 사람과 자연 그리고 시설물관의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시의 상품성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서비스 매뉴얼을 추출함으로써 공공디자인 개발 시 디자인이너의 자세와 소비자 니즈의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공공성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디자인 개발 시 콘셉트 설정에 큰 기초가 된다. 본 연구의 공공디자인 경우 육교, 현수막 등 가로시설물의 이미지 분석을 편리성, 안전성, 사용성, 인터페이스, 정체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각각 연관된 사람과 자연 그리고 시설물들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서비스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a public street facility design focusing on issues, problems and examinations. Present design concepts and design service methods improve marketability of city based on the problem and nature while developing the public design. To ensure this end, set street facilities up in the public design sector and to implement targeted images analysis and phenomenons. Factor functional elements out trough a present philosophy of public design, has suggested public service manuals. A public design manual in human-centered design paradigm changes to its fundamental principles of thinking, communicating, and the beauty in an convenient interface for the people and nature-based facilities. Therefore we can analysis customer needs and way of design concepts by extracting service manual for the city competitiveness and marketability. Als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ublic service and become a large basis of design idea. In this study, public facilities such as overpass and banners being analysis as convenience, safety, usability, interface have proposed to find the service manual its association.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1.2. 연구방법

2. 공공디자인의 현주소
  2.1. 공공디자인(Public design)정의
  2.2. 공공디자인 현주소
    2.2.1. ‘감’의 요소 사례
    2.2.2. ‘꼴’의 사례
    2.2.3. 공공디자인 진단
  2.3 공공디자인 트렌드
    2.3.1. 21세기형 디자인
    2.3.2. 세계적 디자인 트렌드

3. 공공디자인 서비스
  3.1. 가로시설물 서비스 요소
  3.2. 공공디자인 철학
  3.3. 스마트행정 서비스 시스템
  3.4. 실천 매뉴얼
 
4.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유홍택(한국폴리텍1대학(정수캠퍼스) 산업디자인학과 외래교수) | Yoo, Hong-Ta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