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디자인 대학과 공모전 연계 교육 관련 연구 - 국내외 주요 공모전 관련 연구를 통한 대학 교육 - KCI 등재

Study on design universities - contest linked education - Universities education reviewed by studie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jor contes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9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21세기의 디자인대학 교육에 거는 기대는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사회적, 시대적 요구에 맞는 교육을 위한 대학의 노력은 절실하다. 디자인 대학은 디자인 관련 전문지식과 융합, 변화하는 사회가 인간에게 행복을 줄 수 있는 가치를 중심으로 다양한 자구책을 마련하고 실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취업을 위한 현장실습과 디자인 능력 극대화와 중간과정 평가를 위한 수단으로서 국내외 공모전은 디자인대학에 필요하다. 국내외 공모전은 학생들의 실질적인 관심과 성취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기업과 단체에서 공모전을 통한 공유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요소와 대학의 기초적인 교육 내용과 만남의 긍정적 확대라는 측면이 절실하다. 가치융합디자인비지지니스 교육 과정의 4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그 동안 참가하여 성과를 올렸던 주요 국제공모전의 공통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시사성. 구성. 완성도. 스타일. 파급효과 5가지 요소의 공통점 돌출을 통하여 가치융합디자인Biz와 공모전 연계를 통한 교육을 할 수 있는 과정과 체계를 필요로 한다. 기존 연구와 학문적 보완 그리고 교육 과정을 통하여 새로이 정립한 가치 디자인의 방법론의 14단계를 가치인식, 가치표현, 가치융합비즈(Biz), 가치 모델, 가치표현디자인, 가치 확대 요소 6가지와 세부 요소 28 단계 단계로 나누어서, 시사성. 구성. 완성도. 스타일. 파급효과 5가지 요소와의 연계를 명확하게 하였다. 아직 대학과 기업. 단체 사이에 공모전에 대한 연구가 없음으로, 이번 연구가 대학의 가치융합디자인Biz과 공모전 연계 교육을 위한 연계교육표를 중심으로 학습 과정(Process)과 체계(System)를 통한 디자인 방법론 모델(Model) 제시를 통한 학생들의 실질적인 관심과 성취도 향상에 도움 되기를 바란다.

There are soh diverse expectations directed to 21st century design universities education. The efforts by universities on the education suitable to these social, periodic demands are pressing. Design universities have prepared and practiced various self-plan focusing on the value whereby design related special knowledge, fusion and ever changing society could provide happiness to the humans. Concurrently,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sts a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on-the job training for job search and design capacity maximization as well as intermediate course assessment. Design universities’ education and contests meaningful from the aspects of practice and intermediate process assessment. Especially, it is true th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sts are affecting student’ practical interest and achievement level. It is desperately necessary to positively expand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design factors to be shared through contests by corporate and groups, and universities basic educational contents of universities. This study reviews design suggestiveness, composition, perfection level, style, ripple effect oriented design methodology and related educational contents, b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sts focusing on basic education and fusion, temporary perception and expansion, business mind. As studies on contests are scarce yet between universities, corporate and group, this study would contribute suggestive education at universities, guidance to students, and students under preparatory stage.

목차
1.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가치융합디자인Biz 교육 요소
  2.1. 기초 디자인
  2.2. 관련 전문지식과 융합
  2.3. 가치디자인
  2.4. 가치융합디자인비지니스

3. 국내외 디자인 공모전
  3.1.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3.2. 핀업컨셉디자인공모전
  3.3. 고이즈미조명공모전
  3.4. 레드닷디자인어워드
  3.5. 오사카국제디자인어워드

4. 가치융합디자인Biz와 공모전 연계 교육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조은환(백석대학교 디자인영상학부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 Cho, Eun Haun